Article

네이밍 유도에 필요한 매칭 교수 시도 수가 발달장애 아동의 네이밍(Naming) 출현에 가지는 의미

박병주1, 박혜숙2,*
Byeongju Park1, Hyesuk LeePark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아동청소년발달센터 푸름 협동조합, 치료사
2국립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초빙교수
1Purum C&Y Development Center
2Kongju National Univeristy
*교신저자(hyesuk11@live.com)

ⓒ Copyright 2021,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Nov 07, 2021; Revised: Dec 14, 2021; Accepted: Dec 20, 2021

Published Online: Dec 31, 2021

요약

이 연구는 기존의 문헌에 보고된 네이밍 능력의 유무를 점검하는 절차를 적용하여 네이밍 유도에 필요한 매칭 교수의 시도 수를 파악하고 이를 적용하였을 때 청자 네이밍과 화자 네이밍이 출현하는지 점검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자폐성 장애를 보이는 만 4세 남아와 지적 장애를 보이는 5세 여아 두 명으로 네이밍 능력의 부재 또는 향상이 필요한 아동이다. 연구 설계는 실험 내에 두 참여자에 걸쳐 반복된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셋트1을 이용하여 파악된 네이밍 유도를 위해 필요한 매칭 교수 시도 수를 나머지 자극 셋트에 적용하였을 때에도 두 참여자 모두 청자, 화자 네이밍이 유도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네이밍을 유도하는 주요 변인이 한 자극에 대한 식별반응과 택트를 습득하기 위해 아동에게 필요한 자극의 노출 시도 수임을 제시한다. 미래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청자, 화자 네이밍의 출현과 청자, 화자 반응의 습득을 위해 필요한 준거 도달 시도 수 사이의 관계성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number of matching instruction trials required to induce Naming was analyzed using Naming probe procedure which was reported in existing literature. Then the identified number of matching trials with new sets of stimuli was provided to examine whether Naming responses emerged in children with language delays. A delayed multiple baselines across behaviors with multiple probes design was used and this experimental procedure was repeated with Participant B.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both of participant showed emergence of Naming capabilities to novel sets of stimuli when the identified number of matching trials were provi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one of main variables for emergence of Naming was number of opportunities in which the participants were exposed to stimuli before they reached to a criterion level during pointing or tact instruction with the stimuli. In future studies, 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trials to criteria during the listener or speaker instruction and emergence of Naming capability should be examined.

Keywords: 준거-도달-시도-수; 관계틀 이론(Relational Frame Theory); 네이밍(Naming); 자극 등가
Keywords: Naming; Relational Frame Theory; Trials to criterion; Stimulus equival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