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Behavior Analysis and Support
Korean Association for Behavior Analysis
Article

국내 특수교사 양성 대학의 행동분석 관련 과목 운영 실태: 행동분석전문가 학사학위 과정 자격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논의

김연주1, 박소영2, 유장순3, 백종남4,*
Yeonjoo Kim1, So-young Park2, Jang Soon Yoo3, Jongnam Baek4,*
1인천예송유치원, 교사
2한국교통대학교, 교수
3나사렛대학교, 교수
4우석대학교, 교수
1Incheon Yesong Kindergarten, Teacher
2Kor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Professor
3Korea Nazarene University, Professor
4Woosuk University, Professor
*교신저자 : jongnamy@gmail.com

ⓒ Copyright 2022 Korean Association for Behavior Analysi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Mar 14, 2022; Revised: Aug 28, 2022; Accepted: Aug 28, 2022

Published Online: Aug 31, 2022

요약

이 연구는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기관의 행동분석 관련 교과목을 분석하여 학사 수준 한국행동분석전문가 자격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기관인 대학 중 특수교육과 및 특수교육학부가 설치된 31개 대학교 46개 학과(전공)를 대상으로 학과 홈페이지에 탑재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에서 행동분석원리와 임상실습 과목이 모두 개설된 대학은 31개 대학 중 23개 대학이다(74.2%). 둘째,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에서 행동분석원리 관련 49과목이 개설되었고, 주로전공선택 3학점으로서, ‘행동수정’‘긍정적 행동지원’, ‘특수아행동수정’ 등의 과목명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에서 임상실습 관련 123과목이 개설되었고, 주로 전공선택 또는 교직의 이수구분이며, 2학점 이하 또는 3학점으로서 ‘교육봉사활동’, ‘학교현장실습’, ‘특수교육현장실습’ 등의 과목명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행동분석전문가 학사학위 과정 마련을 위해서 예비 특수교사의 전문성 역량 강화를 위한 행동중재 관련 과목추가 개설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implications for preparing Korean Behavior Analyst Certification by analyzing the subjects related to behavior analysis at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that reflects the qualification standards of bachelor's degree program, which has recently been increasing interest in Korea. We analyzed the curriculum posted on the department's website for 46 departments of 31 universities with special education departments among universities that ar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of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23 out of 31 colleges (74.2%) have both behavioral analysis principles and clinical practice courses in the department (major) for training teachers in special schools nationwide. Second, 49 subjects related to behavioral analysis principles were opened in the National Special School Teacher Training Department (major), and mainly consisted of 3 credits for elective major, with subject names such as ‘Behavioral modification’, ‘Positive Behavior Support’, and ‘Special child behavior modification’. Third, 123 subjects related to clinical practice were opened in the department (major) for training teachers in special schools nationwide, and mainly consisted of 3 or 2 or less credits for elective major and teaching profession, with subject names such as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School field practice’, ‘Educational volunteer activities’, and ‘Special education field practic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prepare a bachelor's degree course for behavioral analysis specialists, the necessity of opening additional courses related to behavioral interventions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 competence of prelimin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discussed.

Keywords: 행동분석전문가; 학사학위 과정; 자격 기준;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대학; 교육과정
Keywords: Board Certified Behavior Analyst(BCBA); bachelor's degree course; qualification standar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of special-education; curriculum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교육 현장에서 전문직으로서 교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현직 교사와 예비 교사의 전문성과 현장성 강화는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이다. 학교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변인들 중의 하나는 교사의 질을 높이는 것이며 (박삼철, 2008), 교사는 전 생애에 걸쳐 전문성을 발전시켜가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특수교사와 예비 특수교사 역시 예외가 아니며 특수교육대상학생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부가적인 책무성도 갖고 있다.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의학적 관점, 발달적 관점, 행동적 관점 등의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교수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데 특히, 학생의 행동을 분석하고 예방적 차원으로 중재하는 것은 특수교사의 매우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이다. 발달장애 학생의 심각한 문제행동의 기능성을 평가하고 얻은 자료를 근거로 근본적으로 치료하려는 새로운 연구 경향은 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어 최근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행동의 기능성 평가 연구에 의해 응용행동분석(Applied Behavior Analysis: ABA)의 실용성이 신장되면서 국제행동분석학회(ABA International)와 미국의 행동분석전문가자격위원회((Behavior Analyst Certification Board: 이하 BACB)의 위상과 역할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홍준표, 2014).

최근 특수교육과 사회복지 분야에서 장애학생의 도전적 행동지원 방법에 대한 이슈가 집중되면서 미국의 장애학생 행동지원 서비스로서 BACB의 국제행동분석전문가 자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BACB에서는 공인된 행동분석전문가 되기 위한 자격 기준과 최소한의 조건을 제시하고 자격시험 응시 및 합격한 자에게 자격증을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2022년부터 응시 자격 요건이 미국과 캐나다의 북미 지역으로 제한됨에 따라 국내에서 한시적으로 적용되던 한국어 시험은 종료되었으며, 이에 따른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다. 마침 미국의 또 다른 행동분석전문가자격위원회(Qualified Applied Behavior Analysis Credentialing Board, 이하 QABA)에서 자폐성장애 전문 국제 행동분석전문가 온라인 자격을 부여하고 있으며 한국행동분석학회와 국내 대학 및 관련단체 등에서 인증을 받아 서비스 제공기관으로 등록되어 있다. 현재 국내에서 응용행동분석과 관련된 국제자격 도입을 모색하고 있으나 국내 행동분석전문가 자격제도 마련을 위한 직접적인 해결책이라기보다 또 다른 국제행동분석전문가 자격의 병렬식 추가라는 비판적 시각이 있다. 한국의 문화적 배경을 반영하여 행동분석전문가 자격을 토착화할 수 있는 실재에 접근한 전문성에 대한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미국 BACB는 20년 넘게 행동 분석가 인증 분야의 선두 주자였다. BACB는 행동 분석가, 정부 및 행동 분석 서비스 소비자가 확인하는 전문 인증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1998년에 설립된 비영리기업으로서, 전문적인 실무 표준을 체계적으로 수립, 홍보 및 보급함으로써 행동 분석 서비스의 소비자를 보호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BACB, 2022a). BACB에서는 기본적으로 관련분야의 석사학위, 대학원 수준의 과목 이수(학위 프로그램 내의 수업 가능), 슈퍼바이저 감독 하의 임상 수련 시간, 자격시험 응시 및 합격을 충족해야 한다. BACB에서는 세부적으로 고등학교 졸업 수준의 RBT(Registered Behavior Technician) 자격, 학부 수준의 BCaBA(Board Certified assistant Behavior Analyst) 자격과 석사학위 수준의 BCBA(Board Certified Behavior Analyst) 자격 및 박사학위 수준의 BCBA-D(Board Certified Behavior Analyst-Doctoral) 자격으로 구분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 새로운 국제 행동분석가 인증 기관으로서 QABA가 진출하여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QABA에서도 BACB와 마찬가지로, 고등학교 졸업 수준의 ABAT(Applied Behavior Analysis Technician), 학부 수준의 QASP-S(Qualified Autism Services Practitioner Supervisor) 및 석사학위 수준 이상의 QBA(Qualified Behavior Analyst)으로 자격이 구분되어 있다. 실제로 ABAT는 직접 일대일 강사 역할을 하는 초급 중재자이고, QASP-S는 중간 단계 중재자이며 QBA는 고급 단계의 중재자를 의미한다.

국내에서도 특수교육과가 설치된 대학의 대학원과정에서 행동분석 전공 과정을 신설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한국행동분석학회에서는 행동분석전문가가 갖추어야 할 자격의 기준을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험을 시행하여 한국행동분석전문가자격(Korean Association for Behavior Analysis: KBA)을 부여하고 있다. 한국행동분석전문가 자격은 민간자격증과 국가자격인정 자격으로 구분하여 발급되고 있으나 일원화된 국가자격으로의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다. 국내에서도 행동중재전문가 국가자격 제도 도입을 제안하였고(김기룡, 2019), 대학 및 대학원 행동재활(치료) 인력 양성체계 비교를 통해 발달재활서비스제공 인력 자격 규정 보완의 필요성과 교육과정 운영 및 질 제고를 제안하고 국가 차원의 자격 관리를 위한 엄정한 자격인정과 자격증 갱신 및 보수교육 관리를 제안하였다(박계신, 2020). 특히, 행동중재전문가 국가자격 추진 관련 법률 개정안 제안을 위해 학위 취득자, 공통 교과목 이수, 임상실습, 윤리교육 이수의 4가지 조건을 충족하되 국가시험 응시하여 합격자에 한해 자격증을 발급하고, 효과적 운영을 위해 행동분석 전문가 1급과 2급 자격 체제를 제안하였다(김기룡, 2019).

국내 특수교육 관련 학과에서는 응용행동분석 기반의 과목을 개설하여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행동중재 서비스의 수요에 부응하고자 한다. 응용행동분석을 기반으로 한 교육과 치료 서비스의 부재가 초래하는 문제로 교사의 스트레스 증가, 아동의 학교 교육 및 관련 서비스의 비용 증가,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 및 양육 비용 증가, 재활 및 독립적 사회생활 저해, 국가의 사회보장 서비스의 비용 증가를 지적할 수 있다(조광순, 2021). 또한 최근 응용행동분석의 원리를 기반으로 한 개별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많은 연구에서 그 효과성이 지속적으로 보고되어(김정기 등, 2017; 백은희, 박계신, 이선희, 2019; 이연아, 백종남, 인쇄중 등), 특수교사의 응용행동분석 원리 이해와 실행은 특수교사가 갖추어야 할 필수적인 능력으로 여겨지고 있다. 일상이 임상이라고 볼 수 있는 특수교사들은 학습자와 학부모의 요구에 따른 행동중재의 필요성과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통합교육 배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행동 중재의 중요성을 실감하며 임상 경력을 쌓아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특수교사는 응용행동분석의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초학문적 장애아동 행동지원에 접근이 용이하다. 응용행동분석은 부모-특수교사-치료지원 전문가와 다른 전문영역(의사, 다른 영역의 전문가, 특수교사, 사회사업가 등)의 팀 협력에 따라 보다 효율적인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고 인식되고 있다(이정해, 최진혁, 2020a). 이에 미국 공교육 체계 내에서 행동분석 전문가는 교육청 소속 행동분석전문가와 개별학교 전담 행동분석전문가의 형태로, 공교육 체계 내 행동분석전문가 확보를 위한 교육부 지원 프로젝트가 운영되고 있다(조광순, 2021). 국내에서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행동분석가와 특수교사가 결합된 ‘행동중재지원단(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특수교육 발전 조례, 2021. 11. 10 제정)’이 운영되고 있다. 2021년도부터 시작된 특수교사 대상 행동중재전문가 양성과정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학교 현장경험이 풍부한 특수교사를 행동중재 전문가로 양성할 필요가 있다(홍주성, 2022. 8. 9)”는 현장의 절실한 요구가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효과가 입증된 증거 기반의 실제로서 응용행동분석은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의해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기관인 특수교육과 및 특수교육학부가 설치된 대학 중 특수교사 양성 자격 취득과 관련된 교과목 분석을 통해 예비 특수교사의 전문성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설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기관의 행동분석 관련 교과목을 분석하여, 특수교사의 응용행동분석 전문성 함양을 위한 토대를 확인하고, 나아가 국내에서의 행동분석전문가 자격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한다.

2. 연구 문제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의 행동분석원리 및 임상실습 등 행동분석 관련 과목 개설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에서 개설한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의 전공과정, 이수구분, 이수학점, 과목명은 어떠한가?

셋째,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에서 개설한 임상실습 관련 과목의 전공과정, 이수구분, 이수학점, 과목명은 어떠한가?

Ⅱ. 미국의 학부 수준 행동분석전문가 자격 고찰

이 연구는 한국 학부 수준 행동분석전문가 자격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한국보다 먼저 행동분석전문가 자격 기준을 마련한 미국의 BACB와 QABA의 사례를 알아보고자 한다.

1. BACB 학부 수준 행동분석전문가 관련 교과 편성

BACB에서 인증한 학부 수준 행동분석전문가는 BCaBA(Board Certified assistant Behavior Analyst)이다. BCaBA는 행동 분석의 학부 수준 인증 자격으로 BCaBA 수준의 인증을 받은 전문가는 석사 수준의 BCBA(Board Certified Behavior Analyst)의 감독 하에 행동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CaBA 수준에서 인증된 전문가는 BCBA의 감독 없이 행동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으며 BCaBA는 고등학교 졸업 수준의 RBT(Registered Behavior Technicians)의 활동을 감독할 수 있다(BACB, 2022b).

1) 교육내용 및 이수시간

BACB의 BCaBA 자격 취득을 위한 행동중재 관련 교과목은 다음의 <표 1> 학부 수준의 행동 분석 교육과정 내용과 같다.

표 1. BACB의 학부 수준 행동 분석 교육과정 내용(2022. 1.1 이후 BCaBA 기준)
이수 시간 교육 내용
30 BACB 윤리 준수 규정 및 규정 강화 체계; 전문성
45 철학적 기초: 개념과 원리
30 측정, 자료의 시각화와 이해: 실험 설계
45 행동 평가
60 행동 변화 절차; 중재의 선택과 실행
15 개별적 슈퍼비전과 관리
225
Download Excel Table

미국의 학부 수준의 BCaBA의 자격 취득 방법은 ABAI-공인 학사학위 프로그램과 행동분석전문가 교육과정의 두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ABAI-공인된 학사학위 프로그램과 응용행동분석 임상실습을 이수해야 하고, 둘째, 행동분석전문가 과정은 학사학위와 행동분석 교육과정 및 응용행동분석 임상실습을 이수해야 한다. 즉, ABAI-공인된 학사학위 프로그램이 설치된 대학에서 교육을 이수해야 하거나 양질의 교육기관에서 학사학위를 받고 행동분석 교육과정 이수해야 하며 해당 과목은 위의 <표 1>과 같으며, ABAI-공인된 학사학위 프로그램은 <그림 1>, BACB 행동분석전문가 교육과정은 <그림 2>와 같다.

jbas-9-2-31-g1
그림 1. ABAI-공인된 학사학위 프로그램
Download Original Figure
jbas-9-2-31-g2
그림 2. BACB 행동분석전문가 교육과정
Download Original Figure
2) 시험과목의 내용 및 문항 수

BACB의 학부 수준의 자격 취득을 위한 교과목을 참고할 수 있는 BCaBA 자격 취득을 위한 행동분석전문가 시험 과목은 다음의 <표 2>와 같다.

표 2. BACB 학부 수준의 행동분석전문가 시험 과목(2022. 1.1 이후 BCaBA 기준)
영역 및 내용 문항수
영역 1: 기초 62
A. 철학적 토대 6
B. 개념과 원리 26
C. 측정 및 자료의 시각화와 이해 23
D. 실험 설계 7
영역 2: 적용 83
E. 윤리 (행동분석가를 위한 윤리 규정) 14
F. 행동 평가 16
G. 행동 변화 절차 35
H. 중재 선택과 실행 13
I. 개인별 슈퍼비전과 관리 10
145
Download Excel Table
2. QABA 학부 수준 행동분석전문가 관련 교과 편성

QABA는 자폐스펙트럼장애 및 관련 장애가 있는 개인에게 ABA(응용 행동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최고 수준의 치료를 보장하기 위해 전념하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인증기관으로 증거 기반의 모범적 사례에 전념한다(QABA, 2022a). 석사학위 이상의 단계인 QBA에서는 응용행동분석의 기초, 행동평가, 응용행동분석 및 시스템 지원, 단일대상연구에서, 응용행동분석의 윤리, 감독 및 관리, 자폐성장애 및 관련 장애에 대한 중재, 자폐성장애와 법 등 270시간의 승인된 교과과정을 포함하여 18학점을 이수해야 한다.

학부 수준의 QASP-S(Qualified Autism Services Practitioner Supervisor) 자격은(QABA, 2022b) 고등교육을 위해 공인된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소지한 자가 180시간의 승인된 평가 기반의 ABA과정 또는 행동분석의 기초, 문제 확인 및 기능평가, 행동분석 방법, 행동분석의 기능적 적용, 행동분석에서 윤리적 고려 등 12학점을 완료해야 하며(윤리학 최소 5시간, 자폐성장애 핵심지식 15시간 포함), 1,000시간의 감독이 이루어진 현장 조사 숙련된 행동분석전문가로서 고등학교 졸업 수준의 ABAT 자격자를 감독하고 전문성 개발에 지속적으로 참여한다.

1) 교육내용 및 이수시간

QABA의 QASP-S(Qualified Autism Services Practitioner Supervisor) 자격 취득을 위한 행동중재 관련 교과목은 다음의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학부 수준의 행동 분석 교육과정 내용과 같다.

표 3. QABA 학부수준 행동 분석 교육과정 내용(2022. 1월 WEST FLORIDA 대학 QASP-S 기준)
이수 시간 교육 내용
24 법적, 윤리적, 전문가의 고려사항
30 ABA의 핵심 원리
19 선행 사건 중재
19 기술 습득
19 행동 감소
24 자료 수집
55 평가
20 훈련과 감독
15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수행능력
225
Download Excel Table
2) 행동분석 전문가 관련 시험과목의 내용 및 문항 수

QASP-S 시험은 12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100개의 질문은 실시간으로 점수가 매겨져 있지만 25개의 질문(시험 전 질문)은 점수가 매겨지지 않는다. QASP-S 시험에 접속하기 전에 모든 교과 과정 및 교육 요구 사항, 전문가 추천, 현장 작업 및 감독 요구 사항을 온라인 절차를 를 통해 완료, 확인 및 승인해야 한다. 행동분석전문가자격위원회(QABA)의 학부 수준의 자격 취득을 위한 교과목은 각 영역별로 균등하게 출제되고 있다. QASP-S 시험의 “컷 점수” 또는 “합격점”은 72%이고 시험 완료에 할당된 시간은 3시간이다. 장애로 인해 시험에 응시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경우 시험 편의(Exam Accomodations)를 신청할 수 있다.

Ⅱ. 연구 방법

1. 조사 대상 선정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의 과목으로서, 조사 대상 선정 과정은 체계적 접근법(김수영, 2011)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2020 특수교육 연차보고서(교육부, 2020)에 기재된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기관(학부)을 참고하여 2021년 기준 37개 대학의 특수교사 양성과정 중 유치원, 초등학교, 중등학교 교사 자격으로 한정하였으며, 교육과정이 상이한 특수체육교육과, 직업재활학과를 제외하고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최종 조사 대상으로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기관인 대학 중 특수교육과 및 특수교육학부가 설치된 31개 대학교 50개 학과를 선정하여 홈페이지에 탑재된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1년 12월 6일부터 12월 12일로 총 7일간 조사를 진행하였다. 해당 대학 학과(또는 전공) 홈페이지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요에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과 임상실습관련 과목으로 분류하였다.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의 경우 4개 학과, 임상실습 관련 과목은 10개 학과의 홈페이지에서 교육과정이 확인되지 않아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은 총 49개, 임상실습 관련 과목은 총 123개로 도합 172개의 과목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그림 3>과 같이 흐름도로 제시한다.

jbas-9-2-31-g3
그림 3. 자료 수집 과정의 흐름도
Download Original Figure

이 연구의 분석 대상 대학 및 과목 수는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총 31개 대학에 개설된 172개 교과목이다.

표 4.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기관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명(괄호: 과목수)
대학명 과목수 % 대학명 과목수 % 대학명 과목수 %
01대학 1 0.6 12대학 4 2.3 23대학 3 1.7
02대학 6 3.5 13대학 7 4.1 24대학 6 3.5
03대학 10 5.8 14대학 6 3.5 25대학 2 1.2
04대학 5 2.9 15대학 4 2.3 26대학 3 1.7
05대학 9 5.2 16대학 8 4.7 27대학 8 4.7
06대학 8 4.7 17대학 3 1.7 28대학 2 1.2
07대학 14 8.1 18대학 2 1.2 29대학 1 0.6
08대학 11 6.4 19대학 4 2.3 30대학 6 3.5
09대학 4 2.3 20대학 6 3.5 31대학 9 5.2
10대학 13 7.6 21대학 4 2.3 전체 172 100.0
11대학 2 1.2 22대학 1 .6 (빈칸)
Download Excel Table
2. 자료 분석

이 연구에서 선정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전문가 접근방법(백종남, 김삼섭, 2010; Burns, 1996)을 사용하여, 연구 주제와 관련한 토의 및 의사교환을 하였다. 연구자들은 자료 선정과 수집 과정에서 적합성을 높이고자 논의하였으며, 분석하고자 하는 자료의 영역 및 범주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자료의 분석을 위한 영역 및 기준은 <표 5>와 같다.

표 5. 자료분석의 영역 및 범주 구분
영역 범주
행동분석 관련과목 ① 행동분석원리 ② 임상실습
전공과정* ① 유아특수교육 ② 초등특수교육 ③ 중등특수교육 ④ 특수교육(초+중) ⑤ 특수교육(유+초+중)
이수구분 ① 교직 ② 전공 ③ 전공필수 ④ 전공선택 ⑤ 미기재
이수학점 ① 2학점 이하 ② 3학점 ③ 4학점 이상

각 대학 학과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학과의 교육목표를 확인하여 전공과정을 정함. 예를 들어 ‘특수교육과’로 개설하였더라도 ‘초등특수교사 양성’을 목표로 하는 경우 초등특수교육으로 전공과정을 정하였음.

Download Excel Table

Ⅲ. 연구 결과

1. 행동분석 관련 과목 개설 현황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의 행동분석원리 및 임상실습 등 행동분석 관련 과목 개설 수를 살펴본 결과는 <표 6>과 같다. 이 연구의 연구 대상인 31개 대학 50개 전공과정에서 행동분석원리 관련 49과목과 임상실습 관련 123과목이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분석원리와 임상실습 과목이 모두 개설된 대학은 31개 대학 중 23개 대학이었다(74.2%). 그외 3개 대학은 행동분석원리 과목만, 5개 대학은 임상실습 과목만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25.8%).

표 6. 각 대학별 행동분석 관련 과목 개설 현황 (단위: 과목 수)
대학명 행동분석 원리 임상 실습 대학명 행동분석 원리 임상 실습 대학명 행동분석 원리 임상 실습
01대학 1 0 1 12대학 1 0 1 23대학 1 2 3
02대학 2 4 6 13대학 2 4 6 24대학 2 4 6
03대학 2 8 10 14대학 2 8 10 25대학 2 0 2
04대학 1 4 5 15대학 1 4 5 26대학 1 2 3
05대학 2 7 9 16대학 2 7 9 27대학 2 6 8
06대학 2 6 8 17대학 2 6 8 28대학 1 1 2
07대학 3 11 14 18대학 3 11 14 29대학 1 0 1
08대학 2 9 11 19대학 2 9 11 30대학 2 4 6
09대학 0 4 4 20대학 0 4 4 31대학 2 7 9
10대학 3 10 13 21대학 3 10 13 전체 49 123 172
11대학 0 2 2 22대학 0 2 2 (빈칸)
Download Excel Table
2.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 개설 현황
1) 전공과정별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수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의 전공과정별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 수를 살펴본 결과는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행동분석원리 관련 49과목이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전공과정별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 수를 살펴보면, 유아특수교육 9개 전공과정에서 11과목, 초등특수교육 13개 전공과정에서 13과목, 중등특수교육 15개 전공과정에서 16과목, 특수교육(초등, 중등) 5개 전공과정에서 5과목, 특수교육(유치원, 초등, 중등) 4개 전공과정에서 4개 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표 7. 전공과정별 행동분석원리 관련 교과목 수 (단위: 과목 수)
대학명 A* B C D E 대학명 A B C D E
01대학 0 0 1 0 0 1 17대학 0 1 0 0 0 1
02대학 0 1 1 0 0 2 18대학 1 0 0 1 0 2
03대학 0 1 1 0 0 2 19대학 0 0 1 0 0 1
04대학 0 0 0 0 1 1 20대학 0 1 1 0 0 2
05대학 0 1 1 0 0 2 21대학 0 1 1 0 0 2
06대학 0 1 1 0 0 2 22대학 0 0 0 0 1 1
07대학 1 1 1 0 0 3 23대학 0 0 0 0 1 1
08대학 1 1 0 0 0 2 24대학 1 0 1 0 0 2
09대학 0 0 0 0 0 0 25대학 0 0 2 0 0 2
10대학 1 1 1 0 0 3 26대학 0 0 0 1 0 1
11대학 0 0 0 0 0 0 27대학 1 0 1 0 0 2
12대학 0 0 1 0 0 1 28대학 0 0 0 1 0 1
13대학 2 0 0 1 0 3 29대학 0 0 0 0 1 1
14대학 0 0 0 1 0 1 30대학 2 0 0 0 0 2
15대학 0 1 0 0 0 1 31대학 1 1 0 0 0 2
16대학 0 1 1 0 0 2 전체 11 13 16 5 4 49

A. 유아특수교육전공, B. 초등특수교육전공, C. 중등특수교육전공, D. 특수교육(초등, 중등), E. 특수교육(유치원, 초등, 중등)

Download Excel Table
2) 이수구분별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수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의 이수구분별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 수를 살펴본 결과는 <표 8>과 같다. 각 이수구분별로 살펴보면, 전공필수 8과목(16.3%), 전공선택 33과목(67.3%)으로 나타났다.

표 8. 이수구분별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 수 (단위: 과목 수)
대학명 전공필수 전공선택 미기재 대학명 전공필수 전공선택 미기재
01대학 0 1 0 1 17대학 0 0 1 1
02대학 0 2 0 2 18대학 0 1 1 2
03대학 0 2 0 2 19대학 0 1 0 1
04대학 0 1 0 1 20대학 0 0 2 2
05대학 0 2 0 2 21대학 1 1 0 2
06대학 0 2 0 2 22대학 0 0 1 1
07대학 2 1 0 3 23대학 0 1 0 1
08대학 1 1 0 2 24대학 0 2 0 2
09대학 0 0 0 0 25대학 0 0 2 2
10대학 0 3 0 3 26대학 0 1 0 1
11대학 0 0 0 0 27대학 1 1 0 2
12대학 0 0 1 1 28대학 0 1 0 1
13대학 1 2 0 3 29대학 0 1 0 1
14대학 0 1 0 1 30대학 0 2 0 2
15대학 0 1 0 1 31대학 0 2 0 2
16대학 2 0 0 2 전체 8 33 8 49
Download Excel Table
3) 이수학점별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수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의 이수 학점별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 수를 살펴본 결과, 49개 모든 과목이 3학점(100%)으로 나타났다.

4)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의 명칭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의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명을 알아본 결과는 <그림 4>와 같다.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명으로 가장 많은 것은 ‘행동수정’‘긍정적 행동지원’, ‘특수아행동수정’으로 나타났다.

jbas-9-2-31-g4
그림 4.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기관 행동분석원리 관련 과목명(괄호: 과목수)
Download Original Figure
3. 임상실습 관련 과목 개설 현황
1) 전공과정별 임상실습 관련 과목수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의 전공과정별 임상실습 관련 과목 수를 살펴본 결과는 <표 9>과 같이 123과목이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전공과정별로 임상실습 관련 과목 수를 살펴보면, 유아특수교육 8개 전공과정에서 27과목, 초등특수교육 13개 전공과정에서 39과목, 중등특수교육 14개 전공과정에서 37과목, 특수교육(초등, 중등) 5개 전공과정에서 14과목, 특수교육(유치원, 초등, 중등) 2개 전공과정에서 6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표 9. 전공별 임상실습 관련 교과목 수 (단위: 과목 수)
대학명 A* B C D E 대학명 A B C D E
01대학 0 0 0 0 0 0 17대학 0 2 0 0 0 2
02대학 0 2 2 0 0 4 18대학 0 0 0 0 0 0
03대학 0 3 5 0 0 8 19대학 0 0 3 0 0 3
04대학 0 0 0 0 4 4 20대학 0 2 2 0 0 4
05대학 0 4 3 0 0 7 21대학 0 1 1 0 0 2
06대학 0 3 3 0 0 6 22대학 0 0 0 0 0 0
07대학 5 3 3 0 0 11 23대학 0 0 0 0 2 2
08대학 3 6 0 0 0 9 24대학 2 0 2 0 0 4
09대학 0 0 0 4 0 4 25대학 0 0 0 0 0 0
10대학 4 3 3 0 0 10 26대학 0 0 0 2 0 2
11대학 0 0 2 0 0 2 27대학 4 0 2 0 0 6
12대학 0 0 3 0 0 3 28대학 0 0 0 1 0 1
13대학 2 0 0 2 0 4 29대학 0 0 0 0 0 0
14대학 0 0 0 5 0 5 30대학 4 0 0 0 0 4
15대학 0 3 0 0 0 3 31대학 3 4 0 0 0 7
16대학 0 3 3 0 0 6 전체 27 39 37 14 6 123

A. 유아특수교육전공, B. 초등특수교육전공, C. 중등특수교육전공, D. 특수교육(초등, 중등), E. 특수교육(유치원, 초등, 중등)

Download Excel Table
2) 이수구분별 임상실습 관련 과목수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의 이수구분별 임상실습 관련 과목 수를 살펴본 결과는 <표 10>과 같다. 각 이수구분별로 살펴보면, 교직 45과목(36.6%), 전공표기 10과목(8.1%), 전공필수 9과목(7.3%), 전공선택 53과목(43.1%)으로 나타났다.

표 10. 이수구분별 임상실습 관련 과목 수 (단위: 과목 수)
대학명 교직 전공* 전공 필수 전공 선택 미기재 대학명 교직 전공 전공 필수 전공 선택 미기재
01대학 0 0 0 0 0 0 17대학 2 0 0 0 0 2
02대학 0 0 0 4 0 4 18대학 0 0 0 0 0 0
03대학 6 0 0 2 0 8 19대학 2 0 0 1 0 3
04대학 2 0 0 2 0 4 20대학 0 4 0 0 0 4
05대학 4 0 0 3 0 7 21대학 0 0 0 2 0 2
06대학 4 0 0 2 0 6 22대학 0 0 0 0 0 0
07대학 3 0 2 6 0 11 23대학 0 0 0 2 0 2
08대학 4 0 0 5 0 9 24대학 0 0 4 0 0 4
09대학 0 0 0 4 0 4 25대학 0 0 0 0 0 0
10대학 0 0 0 6 4 10 26대학 0 0 0 0 2 2
11대학 0 0 0 2 0 2 27대학 2 4 0 0 0 6
12대학 0 0 0 3 0 3 28대학 0 0 1 0 0 1
13대학 0 0 2 2 0 4 29대학 0 0 0 0 0 0
14대학 3 0 0 2 0 5 30대학 3 0 0 1 0 4
15대학 2 0 0 1 0 3 31대학 4 0 0 3 0 7
16대학 4 2 0 0 0 6 전체 45 10 9 53 6 123

홈페이지에 “전공”이라고 표시된 경우임

Download Excel Table
3) 이수학점별 임상실습 관련 과목수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의 이수학점별 임상실습 관련 과목 수를 살펴본 결과는 <표 11>과 같다. 각 이수학점별 임상실습 관련 과목 수를 살펴보면, 2학점 이하가 87과목(70.7%), 3학점이 32과목(26.0%), 4학점 이상이 4과목(3.2%)으로 나타났다.

표 11. 이수학점별 임상실습 관련 과목 수 (단위: 과목 수)
대학명 2학점 이하 3학점 4학점 이상 대학명 2학점 이하 3학점 4학점 이상
01대학 0 0 0 0 17대학 2 0 0 2
02대학 0 4 0 4 18대학 0 0 0 0
03대학 8 0 0 8 19대학 2 1 0 3
04대학 2 2 0 4 20대학 4 0 0 4
05대학 7 0 0 7 21대학 2 0 0 2
06대학 6 0 0 6 22대학 0 0 0 0
07대학 3 6 2 11 23대학 2 0 0 2
08대학 7 2 0 9 24대학 4 0 0 4
09대학 1 1 2 4 25대학 0 0 0 0
10대학 3 7 0 10 26대학 2 0 0 2
11대학 1 1 0 2 27대학 2 4 0 6
12대학 3 0 0 3 28대학 1 0 0 1
13대학 4 0 0 4 29대학 0 0 0 0
14대학 5 0 0 5 30대학 3 1 0 4
15대학 3 0 0 3 31대학 6 1 0 7
16대학 4 2 0 6 전체 87 32 4 123
Download Excel Table
4) 임상실습 관련 과목의 명칭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의 임상실습 관련 과목명을 알아본 결과는 <그림 5>과 같다. 임상실습 관련 과목명으로 가장 많은 것은 ‘교육봉사활동’, ‘학교현장실습’, ‘특수교육현장실습’으로 나타났다.

jbas-9-2-31-g5
그림 5. 임상실습 관련 과목명(괄호: 과목수)
Download Original Figure

Ⅳ. 논의 및 제언

이 연구에서는 유치원, 초등학교, 중등학교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기관의 행동분석 관련 교과목을 분석하여, 특수교사의 응용행동분석 전문성 함양을 위한 토대를 확인하고, 나아가 국내에서의 행동분석전문가 자격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논의한다.

첫째,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에서 행동분석원리와 임상실습 과목이 모두 개설된 대학은 31개 대학 중 23개 대학이다(74.2%). 3개 대학은 행동분석원리 과목만, 5개 대학은 임상실습 과목만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25.8%).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에서 행동분석 교과목을 1개 편성한 곳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2021년도 교원자격검정실무편람에 제시된 특수교육 영역 공통 기본 이수 과목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일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일선 특수교육 현장에서 행동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은 현실을 감안할 때 기본이수과목에 포함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교과목 이수 구분에서 전공선택 교과목인 학과가 대부분이었으므로 예비 특수교사가 행동지원 과목을 이수하지 않고 특수학교 정교사 자격을 취득하였을 경우 현장에서 행동지원과 관련된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기능평가 과목이 편성된 학과는 전무(全無)하였고, 단일대상연구 과목은 1개 대학에만 설치되어 있었는데, 이는 행동지원 관련 교과목의 하위 교수요목으로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행동지원 관련 교과목명 중에서도 긍정적 행동지원과 행동수정이라는 교과목명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는데 실제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긍정적 행동지원 과목 또는 행동지원 관련 교과목 교재에서 기능적 행동평가와 단일대상연구를 하위 강의 내용 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기능적 행동평가와 단일대상연구 과목의 중요성을 감안한다면 향후 독립된 과목으로의 비중 조정을 대안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에서 행동분석원리 관련 49과목이 개설되었고, 주로전공선택 3학점으로서, ‘행동수정’‘긍정적 행동지원’, ‘특수아행동수정’ 등의 과목명으로 나타났다. 예비 특수교사는 행동분석 관련 교과목 이수를 통해 장애학생을 포함한 다양한 학생이 있는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기능평가로 문제행동은 감소시키고, 긍정적인 행동은 증가하도록 지원해줄 수 있다. 실제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긍정적 행동지원, 기능적 행동평가를 이수함으로써 실제 현장에서 만나는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예방적 접근에도 용이하며, 학생의 행동문제에 대해 과학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도움받을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생들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다양한 내용과 방법은 기본 행동원리에 기초하고 있다. 행동주의에 입각하여 학생의 행동을 지원하려면 반드시 행동주의 원리와 적용 내용 및 방법을 알아야 하며, 그 원리와 방법을 학급별로 또 학생 개개인에게 맞추어 학생별로 지원할 수 있어야 하므로 대학에서 행동중재 관련한 교과목을 이수하여 기초를 다지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내용과 방법에 대한 기초와 사례를 통한 연습으로 실제 현장에서 만나는 학생과 그 가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학교 현장 실무역량, 장애학생 지도역량 강화로 전문성과 현장성을 갖춘 특수교사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행동지원 관련 교과목을 통해 배운 다양한 지식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효율적으로 학생과 의사소통하는 등 전문화된 특수교사로 양성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셋째,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에서 임상실습 관련 123과목이 개설되었고, 주로 전공선택 또는 교직의 이수구분이며, 2학점 이하 또는 3학점으로서 ‘교육봉사활동’, ‘학교현장실습’, ‘특수교육현장실습’ 등의 과목명으로 나타났다.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의 교육실습과 현장실습, 수업 관찰 관련 교과목은 행동분석전문가 양성 과정의 임상실습 시간과 유사한 성격을 가진다. 물론 교사는 생활지도와 수업 시간의 교육과정 운영이라는 전제 하에 행동지원 관련 임상실습을 진행해야 하지만 교육실습 교과목뿐 아니라 행동지원 교과목, 자폐성장애학생교육, 교직실무 등과 같은 교과목에서도 임상실습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은 한국의 석사과정 행동분석가 자격 기준과 관련하여 논의한다.

첫째, 학사과정의 행동분석전문가 자격 인정 과목에 대한 적극적 논의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행동분석학회에서는 석사과정의 행동분석가 자격만 존재하고 있다. 학사과정의 행동분석가 양성을 통해 현장에서의 응용행동분석 요구를 충족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국 행동분석전문가 자격 양성 과정에서는 특수교사로 한정하지 않고, 행동분석전문가 양성 대학 과정과 임상실습을 이수하고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와 학사학위를 가지고 소정의 자격 인정 과목와 임상실습을 이수하고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에 한하여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자격 기준을 참고하여 학사학위 수준에서 특수교육과만이 아니라 다양한 전공자에게도 행동분석전문가 양성 트랙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 장애학생은 학교만이 아니라 관련서비스로서 치료지원도 받고 있으므로 전문성을 갖춘 행동분석전문가의 양성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그러나, 특정 국가에서 잘 자라는 수목을 다른 나라에 옮겨 심는다고 똑같이 잘 자라는 것이 아니듯, 이식하는 곳의 식생과 토양 및 환경을 고려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둘째, 학사과정의 행동분석전문가 자격 인정 과목의 분야 확대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우 학사과정의 행동분석가 자격을 인정할 때, 예비 특수교사 양성 과정에서 행동분석 관련 과목을 일부 인정하고, 부족분을 평생학습제로 충당하는 방안이 대두될 수 있다. 그러나, 학사과정의 행동분석 관련 과목을 인정하는 것은 장애관련 학과에 국한하지 않고, 정규 자격을 갖춘 고등교육기관의 여러 형태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응용행동분석의 절차와 방법은 이상행동의 치료와 특수교육에 뿐 아니라 정상아동의 생활지도, 학습행동의 교정, 사회적응 행동의 훈련, 일반 소비자 구매행동 분석, 사회의 다양한 조직행동의 효율성 연구, 특수기능의 훈련 등 인간이 활동하는 모든 분야에서의 효과로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기 때문이다(홍준표, 2014).

셋째, 학사과정 행동분석가 자격 인정에 있어 임상경험이 강조되어야 한다. 응용행동분석을 전문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감독 하에서의 체계적인 임상실습이 필수적이다. BACB 및 한국행동분석학회에서 진행하는 자격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행동분석관련 교과목 이수와 슈퍼바이저의 감독 하에서 이루어지는 임상실습을 이수해야 한다. 임상실습의 중요성은 응용행동분석의 철학적 배경 및 과학적인 특성과 맥을 같이 한다. 실제로 치료지원 전문가들의 응용행동분석 중재에 대한 학습 및 지원적 요구에서 환경적 체제보다 개인의 역량 강화를 위한 요구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상 경력이 응용행동분석의 중재 적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이정해, 최진혁, 2020b). 특수교사 양성 과정에서 행동중재에 대한 기초적인 임상 시간의 확보가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이렇게 확보된 임상 시간을 학사과정 행동분석가 자격 인정의 연계에서 얼마나 반영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함께 이루어진다면, 체계적인 학사과정 행동분석사 양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전국 특수학교 정교사 양성 학과(전공)의 행동분석 관련 교과목을 분석하여, 특수교사의 응용행동분석 전문성 함양을 위한 토대를 확인하고, 나아가 국내에서의 행동분석전문가 자격 마련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국내 특수교사 양성기관에서 행동분석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나 대부분 1개 과목으로서 응용행동분석의 원리를 습득하기에는 부족하다. 기능적 행동평가와 단일대상연구 과목 등의 추가 편성과 기초적인 행동중재 임상 시간 확보가 요구되며, 아울러 특수교사 양성과정에서 확보한 임상 시간을 학사과정 행동분석가 자격 인정에서 얼마나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 연구의 제한점 및 이에 따른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첫째, 이 연구에서 특수교육과 설치 대학의 학과 홈페이지 탑재된 교육과정 목록 및 해설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보다 엄밀한 분석을 위해서는 각 대학 특수교육과에 강의계획서, 강의자의 행동분석 관련 자격 여부, 관련 논문 게재 경력 등을 수집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 행동분석 관련 과목의 추가 편성과 기초적인 행동중재 임상 시간 확보 요구에 대한 기초적인 논의를 진행하였다. 후속 연구에서 학사과정 차원에서 필요한 관련 과목의 종류와 개수, 행동중재 임상 시간 인정 기준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 조사가 필요하다. 셋째, 이 연구에서 특수교육 현장에서의 행동분석가 수요에 따른 행동분석가와 학사과정 자격 연계과정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었다. 후속연구에서 학사과정 행동분석가에게 요구되는 역량과 기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1.

교육부 (2020). 2020년 정기국회 보고자료: 2020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세종: 저자.

2.

김기룡 (2019). 발달장애인 등 행동중재 전문가 제도화 방안. 2019 행동분석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9(-), 1-17.

3.

김정기, 한상민, 박은수, 권혁상, 백운미, 백은희 (2017).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특수학교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수업방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4(2), 1-21.

4.

박계신 (2020). 국내 행동재활(치료) 서비스 제공 인력 자격 기준 및 양성 체계 비교 분석. 행동분석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20(-), 79-109.

5.

박삼철 (2008). 교사 전문성 발달 단계를 반영한 호주의 교사자격제도 분석. 비교교육연구, 18(3), 49-71.

6.

백은희, 박계신, 이선희 (2019).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및 자폐성 장애 학생의 문제행동 및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행동장애연구, 35(3), 21-44.

7.

백종남, 김삼섭 (2010). 발달장애학생용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 연구 동향 분석. 중복·지체부자유연구, 53(4), 307-334.

8.

안형식, 김현정(2014). 체계적 고찰 연구의 개요. 대한의사협회지, 57(1), 49-59.

9.

이연아, 백종남 (인쇄중). 특수학교에서의 개별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이 지적장애 학생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행동분석·지원연구, 9(2).

10.

이정해, 최진혁 (2020a). 응용행동분석(ABA) 적용에 대한 부모와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36(3), 395-419.

11.

이정해, 최진혁 (2020b). 응용행동분석 중재에 대한 치료지원 전문가의 경험과 인식. 행동분석·지원연구, 7(2), 119-140.

12.

홍주성 (2022. 8. 9). 부산교육청, 장애학생 행동중재 전문가 양성과정 운영. 2022. 08. 17, https://www.jeongpil.com/895157 에서 인용함

13.

조광순 (2021). 특수교육 서비스 전달체계에서의 행동분석전문가의 역할과 기능. 행동분석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21(-), 35-45.

14.

김수영, 박지은, 서현주, 서혜선, 손희정, 신채민, ... 장보형 (2011). NECA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 서울: 한국보건의료연구원.

15.

홍준표 (2014). 응용행동분석의 특성과 발전배경. 행동분석·지원연구, 1(1), 1-19.

16.

BACB (2022a). About the BACB. October 15, 2022, Retrieved from https://www.bacb.com/about/

17.

BACB (2022b). BCaBA(Board Certified assitant Behavior Analysis) handbook. Retrieved July 20, 2022 from https://www.bacb.com/wp-content/uploads/2022/01/BCaBAHandbook_220825.pdf

18.

Burns, W. C. (1996). Content validity as defined by the uniform guidelines on employee selection procedures (UGESP). Retrieved October 28, 2006 from http://www.burns.com/wcbugesp.htm

19.

QABA (2022a). About the QABA. October 15, 2022, Retrieved from https://qababoard.com/about/

20.

QABA (2022b). Qualified Autism Service Practitioner-Supervisor (QASP-S) Requirements. October 15, 2022 Retrieved from https://qababoard.com/qualified-autism-services-practitioner-supervi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