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Behavior Analysis and Support
Korean Association for Behavior Analysis
Article

장애 및 장애위험 유아를 대상으로 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탐색*

위선영1, 백은희2,*
Sun Young Wi1, Eunhee Paik2,*
1미르유치원, 교사
2공주대학교 특수교육학과, 교수
1Mir Kindergarten
2Kongju National University
*교신저자(ehpaik@kongju.ac.kr)

ⓒ Copyright 2021,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Nov 18, 2020; Revised: Aug 12, 2021; Accepted: Aug 17, 2021

Published Online: Aug 31, 2021

요약

본 연구는 장애 및 장애위험 유아를 대상으로 한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실시하여 대상자별 특성, 중재전략 및 중재전략 효과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따라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수집하였으며, 총 17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대상자별 특성, 중재 대상에 따른 행동특성, 중재전략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중재 전략의 효과크기는 PND 값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재 대상 중 자폐성 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령의 경우 만 5세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중재 환경은 유치원에서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둘째, 중재 대상에 따른 행동유형의 경우 문제 행동 PND 범위는 70~100%의 중간 정도 범위의 효과가 나타났고, 적응 행동 PND 범위는 100%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 전략은 분석한 논문 17편에서 배경 및 선행사건 전략, 대체행동 교수전략, 후속결과 전략을 공통적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중재를 실행할 때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literature review and analyze the results of experimental studies on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at-risk from 2002 to 2019. 17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orea have been selected to be reviewed and analyzed. The selected research articl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variables of disability type, age, intervention setting, and category of challenging behaviors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he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in 17 single subject design studies was analyzed by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point value. To summarize, developmental delay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were the most common type of disabilities that have been studied. Inclusive kindergarten was the most common environmental research setting being investigated. The effect size of the intervention in research turned out to be highly effective level between 90 to 100% in problematic and adaptive behaviors. Therefore, future research direction were suggested for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for preschoolers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at-risk.

Keywords: 개별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장애유아; 장애위험 유아; 문제 행동
Keywords: Individualized Positive Behavior Support;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Challenging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