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Behavior Analysis and Support
Korean Association for Behavior Analysis
Article

지적장애, 자폐성장애 등 발달장애아동의 기능적 행동평가를 위한 동기사정척도(MAS)의 타당성 검증에 관한 연구

백종남1,*
Jongnam Baek1,*
1우석대학교 특수교육과, 교수
1Dept. of Special Education, Woosuk Univ.
*교신저자(jongnamy@gmail.com)

ⓒ Copyright 2020 Korean Association for Behavior Analysi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Mar 08, 2020; Revised: Apr 08, 2020; Accepted: Apr 18, 2020

Published Online: Apr 30, 2020

요약

이 연구는 심리측정학적 검증을 통해 동기사정척도(Motivation Assessment Scale: MAS)의 타당성을 재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자폐성장애 104명, 지적장애 41명 등 발달장애학생 145명과, 이들을 대상으로 기능적 행동평가를 시행한 145명의 부모이다. 이 연구에서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과 오프라인을 통해 자료를 수집된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색요인분석으로 MAS를 4개 요인 1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확인요인분석과 수정지수(MI)를 활용하여 MAS를 수정하였으며, 모형적합성과 집중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셋째, MAS의 잠재변인 간 판별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결과, 복합기능 6개 문항, 선호활동 3개 문항, 감각추구 4개 문항, 관심유도 3개 문항 등 4개 요인 16개 문항으로 MAS를 재구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복합기능을 제외한 3개 요인은 비교적 설명력을 갖추었으므로, 행동분석을 위한 연구 및 중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그러나 재구성된 4개 요인 16개 문항은 기존 이론적 가설과 완전하게 부합하지 않으며, 선행연구(김태형, 2018)의 모델과도 다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에 따라 MAS의 요인 구조는 여전히 신뢰성 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발달장애아동의 기능적 행동평가를 위한 새로운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따라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시사점,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revalidate the validity of the Motivation Assessment Scale (MAS) through psychometric verification. Participants were 145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ding 104 autism and 41 intellectual disabilities. 145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as a examine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S was composed of four factors and 15 question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cond, the MAS was revised by us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Modification Index(MI), and goodness-of-fit and convergent validity were verified. Third, the discriminant validity between potential variables of the MAS was verified.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MAS was reconstructed into 4 factors 16 items including ‘complex’ factor 6 items, ‘tangible’ factor 3 items, ‘sensory’ 4 items, and ‘attention’ 3 items. However, the revised MAS did not fully fit the theoretical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presented.

Keywords: 발달장애; 문제행동; 동기사정척도(MAS); 기능적 행동평가; 판별타당성
Keywords: Developmental disability; Problem behavior; Motivation Assessment Scale(MAS); Functional Behavioral Assessment; Discriminant valid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