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적용한 대안학교 중등 장애 고위험군 학생의 학교적응행동 변화에 대한 연구
Received: Mar 25, 2019; Revised: Apr 21, 2019; Accepted: Apr 27, 2019
Published Online: Apr 30, 2019
요약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내 모든 환경에서 학생들에게 바람직한 기대행동들을 교수하는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대안학교 중등 장애 고위험군 학생의 학교적응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학생은 수도권에 소재한 대안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2명의 13세에서 14세 사이의 장애 고위험군 학생으로 구성되었다. 개인성장기록부와 교사면담 자료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학교적응행동 변화에 해당하는 내용을 추출·범주화하여 분석되었다. 추가적으로 이규미·김명식(2008)이 개발한 학교적응행동 검사를 사용하여 학교생활 적응수준을 사전-사후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질적·양적 연구결과에 의하면 학생들에게 기대행동에 따른 규칙행동을 교수하고 환경을 변화시키며 강화를 제공하였던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은 2명의 대상학생 학교적응행동(예: 학교공부기술, 학교친구 및 교사와의 관계, 학교생활적응)을 전반적으로 변화시키는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대안학교 중등 장애 고위험군 학생의 학교적응행동 변화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한 보편적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구안하는데 필요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program connected with teaching desirable expected behaviors in all school environments on School Adaptive Behavior chang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t-risk in an alternative school. Two students at-risk in age range from 13 to 14 years who were enrolled in a metropolitan-area alternative school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Utiliz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dividual growth documents and teacher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extracting and categorizing appropriate contents on School Adaptive Behavior changes. In addition, pretest-posttest data on participants' School Adaptive Behavior scores were compared using a school adaptive behavior scale developed by Lee and Kim(2008).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wo participants at risk in the alternative school were changed positively their School Adaptive Behaviors(i.e., school study behavior,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school life adjustment)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programs which were consisted of teaching appropriate behaviors according to expected behaviors, changing the school environment desirably, and proving the reinforcement on students' behaviors. Based on these findings, to promote ideally School Adaptive Behavior changes on middle school students at risk in the alternative school, I discussed educational implications to develop the components of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