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Behavior Analysis and Support
Korean Association for Behavior Analysis
Article

성인기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의 도전적 행동 교육과정 개발 요구 분석*

김대용1, 김민희2,**
Daeyong Kim1, Minhee Kim2,**
1건양사이버대학교 행동재활치료학과, 교수
2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응용행동분석학과, 석사과정생
1Konyang Cyber University
2Konyang University
**교신저자: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응용행동분석학과 석사과정생(earlgray0329@naver.com).

ⓒ Copyright 2024,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ul 11, 2024; Revised: Aug 12, 2024; Accepted: Aug 16, 2024

Published Online: Aug 31, 2024

요약

본 연구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 및 지원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보호자, 현장 종사자, 도전적 행동 교육 전문가 총 18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GI)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성인기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에서 발생하는 도전적 행동의 형태와 원인을 파악하고, 이러한 행동을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인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조사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도전적 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예방적 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체계적인 교육과정과 지속적인 보수 교육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예방 및 관리에 필요한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향후 관련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effective strategies for preventing and managing challenging behaviors in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utilizing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ith 18 participants, including caregivers, frontline service providers, and experts in challenging behavior interventions. The primary objective was to identify the types, causes, and prevalence of challenging behaviors in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y care settings and to determine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training program for service providers. The findings revealed that Participa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reating supportive and preventive environments to mitigate challenging behaviors and highlighted the need for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and ongo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service providers. This study provides critical insights for developing training programs aimed at enhancing the capacity of service providers to effectively support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may inform future policy initiatives in this area.

Keywords: 도전적 행동; 성인기 발달장애인; 발달 장애; 사회복지서비스
Keywords: Challenging Behavi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cial Welfare Service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발달장애인 등이 보이는 자해 및 타해 등의 행동은 의료 및 교육 분야에서는 문제행동, 복지 분야에서는 도전적 행동, 일부 기관 등에서는 어려운행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국립정신건강센터, 2018; 서울특별시장애인권익옹호기관, 2022; 한국장애인개발원, 2021). 이들 용어는 비록 사용되는 분야마다 차이가 있지만, 궁극적으로 해당 행동이 행동을 하는 당사자나 타인의 신체적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며, 강도, 빈도, 기간 측면에서 지역사회 시설을 이용하는 데 중대한 제약을 주거나 접근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행동을 지칭하는 것이다(Emerson el al., 1988).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발달장애인법)」에 따르면 발달장애인은 지적장애인과 자폐성장애인을 포함하며, 이들은 비장애인이나 기타 심리 장애를 가진 사람들보다 더 다양하고 심각한 도전적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되고 있다(Baker et al., 2003; Macintosh & Dissanayake, 2006; Matson, Wilkins & Macken, 2008; Nicholas et al., 2008). 특히, 도전적 행동은 성인이 될 때까지 증가하며, 성숙함에 따라 그 심각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Holden & Gitlesen, 2006; Murphy et al., 2005). 이러한 현상은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이 단순히 일시적인 문제가 아니라, 지속적이고 만성적인 문제로 발전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학령기 발달장애인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따라 의무 교육과 무상 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비교적 안정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성인기에 접어든 발달장애인은 「장애인복지법」과 「발달장애인법」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사회복지 서비스에 의존하게 되며, 이 시점에서 도전적 행동이 더욱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다. 실제로 성인기 발달장애인이 이용하는 평생교육기관 및 시설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는 도전적 행동 유형은 자해 행동(13.1%), 공격적인 말이나 행동(타해 행동)(12.6%), 그리고 자기 자극 행동(11.5%)인 것으로 나타났다(최진혁, 김대용, 김민영, 2021). 이러한 도전적 행동은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교육이나 서비스 접근을 방해하고 일상생활에서 많은 배제를 경험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Tӧlli et al., 2021). 이들이 이용하고 있는 장애인복지 실천 현장 종사자들은 의미 있는 삶을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으나,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은 이러한 과정을 방해하거나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김고은, 2021).

또한, 도전적 행동이 심각한 발달장애인은 불필요한 약물 복용 및 학대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보고되고 있다(Bowring et al., 2017). 장애인복지 실천 현장 종사자들에게 도전적 행동은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며, 이로 인해 부상의 위험성, 정서적 피로감, 소진, 그리고 높은 이직률이 발생하고 있다(Klaver et al., 2021; Paris et al., 2021). 이는 발달장애인을 지원하는 사회복지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나아가 발달장애인의 가족, 특히 주 양육자인 부모는 도전적 행동으로 인한 지속적인 스트레스와 소진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가정 내 갈등도 심화된다(Dreyfus & Dowse, 2020). 특히 부모는 자녀의 도전적 행동에 따른 직접적인 피해를 감내할 뿐만 아니라, 자녀가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책임감과 죄책감을 느끼며, 지속적인 정서적 압박을 받는다(임원균, 오은경, 2014; 임혜경 외, 2018). 이와 같은 상황은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을 사회적으로 고립시킬 위험을 높이며, 이들을 지원하는 종사자들에게도 심각한 부담을 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는 2024년 6월부터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사업’을 시행하였다. 이 사업은 도전적 행동이 심각하고 기존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성인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주간 개별, 주간 그룹, 24시간 개별 지원 등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을 지원하기 위한 국가 차원의 중요한 정책적 조치로 평가받고 있으며, 성인기 발달장애인과 그 가족,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국가적 관심을 반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국내에서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선행 연구는 주로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부모, 특히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돌봄 부담에 집중해왔다(강승원, 김민경, 2020; 윤선미, 정이윤, 양호정, 2022; 임혜경 외, 2018; 임혜경, 황순영, 2018). 또한, 장애인복지 실천 현장 종사자들이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을 예방하고 지원하는 데 있어 직면하는 어려움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서울 소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이들이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해 가지는 인식을 분석하였으며(유수진, 이은혜, 한정은, 2020), 또 다른 연구는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종사자가 응용행동분석 중재에 참여한 후 인식 변화와 요구사항을 조사하였다(방수진, 이성봉, 2021). 이러한 연구들은 종사자들이 느끼는 현장의 어려움과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명히 보여준다.

그러나,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보호자, 장애인복지 실천 현장 종사자 및 도전적 행동 교육 전문가가 모두 참여한 연구는 부족하며, 특히 도전적 행동 예방 및 지원 교육과정에 필요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파악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한국보건복지인재원(2022)에 따르면, 발달장애인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88.3%가 도전적 행동 지원 교육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하였으며, 50%는 모든 종사자가 이러한 교육에 참여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발달장애인 복지 실천 현장의 종사자를 위한 도전적 행동 지원 관련 교육과정의 수립 및 내용의 개발과 보급이 시급함을 시사한다.

현재 국내에서는 대학(원) 또는 비학위 교육기관을 통해 행동 분석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으며, 이는 주로 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 양성과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요구되는 전문가의 수에 비해 실제로 양성된 인력은 여전히 부족하며, 특히 행동 중재 전문가의 수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성인 발달장애인에게 실질적인 행동 중재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최진혁 외, 2021). 이로 인해,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을 지원하는 장애인복지 실천 현장 종사자를 위한 교육과정 마련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도전적 행동의 발생빈도가 잦아지고 강도가 커지는 성인기 발달장애인 복지 실천 현장에서는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도전적 행동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보호자, 장애인복지 실천 현장 종사자 및 도전적 행동 교육 전문가가 참여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 이하 FGI)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의 형태, 기능 및 도전적 행동의 예방과 지원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장애인복지 실천 현장 종사자를 위한 도전적 행동 예방 및 지원 교육과정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보다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연구 문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기 발달장애인 복지 실천 현장에서의 도전적 행동 지원 현황은 어떠한가?

둘째,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보호자, 장애인복지 실천 현장 종사자 및 도전적 행동 교육 전문가가 요구하는 도전적 행동 지원 교육과정의 내용 및 고려 사항은 무엇인가?

II.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초점집단면접(FGI) 참여자는 A시 소재 발달장애인 지원 기관의 협조를 통해 선정되었다. 참여자는 크게 세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첫 번째 그룹은 A시에 거주하며 성인기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로 구성된 보호자 그룹이었다. 두 번째 그룹은 현장 전문가와 실무자로 구성되었으며, 현장 전문가는 A시 내 성인기 발달장애인이 이용하는 사회복지서비스 기관에서 관리자급으로 근무하는 자들로, 실무자는 A시에서 시행된 발달장애인 도전적 행동 예방 및 지원과 관련된 공적 서비스를 제공한 경험이 있거나 해당 기관에서 근무하는 자들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도전적 행동 교육 전문가 그룹은 발달장애인의 보호자와 사회복지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도전적 행동 예방 및 지원 교육을 수행한 경력이 있는 자들로 선정되었다. 연구 참여자에 대한 정보는 <표 II-1>에 제시되었다.

표 II-1. FGI 연구 참여자 정보
유형 구분 연구 참여자 구분 성별 관련 정보
보호자 보호자-A • 성인기(40대, 남) 발달장애인 자녀 있음
보호자-B • 성인기(20대, 여) 발달장애인 자녀 있음
보호자-C • 성인기(20대, 여) 발달장애인 자녀 있음
보호자-D • 성인기(20대, 남) 발달장애인 자녀 있음
현장 종사자 현장 전문가-E • 주간보호센터 센터장
현장 전문가-F • 보호작업장 원장
현장 전문가-G • 장애인복지관 부장
현장 전문가-H • 자립지원센터 사무처장
현장 실무자-I • 주간보호센터 근무
현장 실무자-J • 발달장애인 도전적 행동 지원 경력 있음
현장 실무자-K • 주간활동센터 근무
현장 실무자-L • 발달장애인 도전적 행동 지원 경력 있음
도전적 행동 교육 전문가 교육 전문가-M • 장애인가족지원센터 센터장
• 장애 인식 개선 및 인권 교육
교육 전문가-N • 사회복지학 박사 수료
• 발달장애인 도전적 행동 교육
교육 전문가-O • 특수교육학 박사
• 장애인평생교육강사 양성과정 교육
교육 전문가-P • 심리학 석사, 미국공인행동분석전문가-석사급(BCBA)
• 행동분석 및 행동중재 교육
교육 전문가-Q • 교육학 석사
• 장애인복지관 행동지원 팀장
교육 전문가-R • 사회복지학 학사
• 장애인복지관 긍정적행동지원 팀장
Download Excel Table

선정된 연구 참여자에게는 연구 목적과 FGI의 사용 목적이 연구 목적에 한정되며, 개인 정보는 비밀로 유지될 것임을 제1 연구자가 휴대전화 메시지를 통해 안내하였으며, 참여 여부는 이를 통해 확인되었다. 연구 참여자 중 종사자는 모두 A시 내에서 근무 중이거나 A시에서 시행된 공적 서비스 제공자이므로, 특정 지역 내 종사자의 전공, 학위, 근무 경력을 현 근무 기관의 유형, 직급과 함께 제시할 경우 연구 참여자가 특정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정보는 제시하지 않았다.

2. 자료 수집 및 분석 절차
1) 질문지 개발

본 연구의 FGI를 위해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보호자, 복지 실천 현장 종사자, 도전적 행동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질문지를 개발하였다. 질문지 개발을 위해 기존 연구를 참고하였으며, 현장 종사자의 교육 참여 횟수와 교육 주제에 관한 부분은 유수진 외(2020)를, 도전적 행동 발생 시 대처 방안에 대한 부분은 최진혁 외(2021)를 바탕으로 두 개의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영역은 가정 또는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에서의 도전적 행동 예방 및 대처 방안에 대한 것이다. 이 영역은 발달장애인 복지 실천 현장에서 발생하는 도전적 행동의 형태, 빈도 및 예방과 대처 방안에 관한 총 네 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보호자와 종사자 질문지에 반영되었다. 도전적 행동 교육 전문가 문항에는 이 영역이 반영되지 않았다.

두 번째 영역은 도전적 행동의 예방과 대처를 위한 종사자의 역량 및 이를 교육하기 위한 과정에 대한 요구 사항이다. 총 여덟 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세 문항은 모든 연구 참여자의 질문지에 포함되었다. 이 문항들은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 종사자들이 도전적 행동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 현장 근무 시 중점적으로 교육해야 하는 내용 및 시수, 그리고 현장 종사자를 전문가로 양성하기 위해 필요한 교육 내용 및 시수를 다루었다. 종사자 질문지에는 도전적 행동 교육의 빈도와 이수한 교육 중 현장 근무에 유익했던 내용을 묻는 두 개의 추가 문항이 포함되었다. 도전적 행동 교육 전문가 질문지에는 복지 현장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도전적 행동 교육의 내용, 시수, 그리고 교육 담당자로서 적합한 인물에 대한 문항이 포함되었다.

질문지는 특수교육학과 교수 1명, 특수교육학 박사 1명, 특수교육학 박사 과정 1명, 사회복지학 교수 1명의 검토를 거쳤다. 검토 후, 두 번째 영역의 여덟 개 문항 중 도전적 행동 교육 전문가에게 교육 내용을 묻는 문항을 제외한 일곱 개 문항에 대해 예시를 제공하는 것이 연구 참여자가 의견을 제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의견이 있어 예시를 추가하였다. 질문지는 면담 하루 전 전자우편을 통해 참여자에게 개별 발송되었으며, 사전 검토 후 면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질문지의 세부 내용은 <표 II-2>에 제시되었다.

표 II-2. 발달장애인 보호자, 복지 현장 종사자, 도전적 행동 교육 전문가에 대한 질문지 내용
영역 구분 질문 내용 연구 참여자
보호자 현장 종사자 교육 전문가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에서의 도전적 행동 대처 방안 •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 (또는 가정)에서 대처하기 어려운 도전적 행동(예: 자해, 타해, 파괴하기 등)은 얼마나 발생하고 있다고 보시나요? -
• 현재 또는 과거에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에서 도전적 행동을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하였나요? -
•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에서 어려운 도전적 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
•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에서 어려운 도전적 행동이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까요? -
도전적 행동 예방 및 대처를 위한 역량과 교육 과정 • 복지 현장 종사자들이 어려운 도전적 행동을 잘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및 조건)은 무엇인가요?(예시 제시)
•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에 처음 근무하는 사람에게는 어떤 내용을 중점적으로 지도해야 할까요?(예시 제시)
•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에서 현재 종사자들 중 도전적 행동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교육이 필요할까요?(예시 제시)
• 도전적 행동 관련 교육은 얼마나 자주 이루어지고 있나요?(예시 제시) - -
• 도전적 행동 관련 교육 중 가장 좋았던 내용은 무엇인가요?(예시 제시) - -
• 복지 현장에서 주로 교육하고 계시는 도전적 행동 관련된 내용은 무엇인가요? - -
•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 종사자들에 대한 도전적 행동 관련 교육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나요?(예시 제시) - -
•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에서 어떤 사람들이 도전적 행동 관련 교육을 하는 것이 적절할까요?(예시 제시) - -
Download Excel Table
2) 면담 실시

FGI는 대면 3회와 실시간 온라인 2회로 나누어 실시되었다. 현장 실무자, 현장 전문가, 보호자 그룹은 각각 대면으로 그룹별 1회씩 진행되었다. 현장 실무자 면담은 2023년 6월 22일 10시부터 11시 30분까지, 현장 전문가 면담은 같은 날 14시부터 15시 30분까지, 보호자 면담은 16시부터 18시까지 진행되었다. 도전적 행동 교육 전문가 그룹은 ZOOM을 이용한 실시간 온라인 방식으로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 1회씩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첫 번째 그룹은 2023년 7월 6일 16시 30분부터 18시까지, 두 번째 그룹은 같은 날 19시부터 20시 30분까지 진행되었다.

3) 면담에 대한 자료 분석

FGI는 대면 3회, 실시간 온라인 2회로 총 8시간에 걸쳐 진행되었다. 면담에 앞서 연구 참여자에게 녹음 및 녹화된 내용이 연구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개인 정보는 비밀로 유지될 것임을 안내하고, 서면 동의를 받은 후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이 종료된 후, 연구진은 연구 참여자가 추가 의견을 개별적으로 전할 수 있음을 안내하였으며, 한 명의 참여자가 문자메시지를 통해 의견을 추가로 전달하여 이를 반영하였다. 녹음된 파일은 FGI 진행 후 3일 내에 텍스트 파일로 변환되었으며, 변환된 파일은 글자 크기 10, 줄간격 160%로 A4 용지 265쪽 분량에 해당하였다.

면담 자료에 대한 분석은 Stewart & Shamdasani (2014/2018)의 권고에 따라 주요 주제를 도출하고 범주화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제1 연구자와 제2 연구자는 각각 면담 내용을 읽고, 본 연구의 연구 문제와 관련이 있는 부분을 확인한 후, 유사한 주제를 가진 문장이나 문단을 범주화하였다. 범주화된 항목은 주요 항목과 세부 내용으로 위계화하여 주제를 도출하였다. 분석된 연구 결과는 질문지 검토에 참여했던 특수교육학과 교수 1명, 특수교육학 박사 1명, 특수교육학 박사 과정 1명, 사회복지학 교수 1명에 의해 타당성이 검토되었다. 이후, 연구 참여자에게 분석된 내용이 포함된 결과물을 전자우편으로 개별 발송하여, 불필요한 개인 정보가 포함되거나 의견이 잘못 반영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III. 연구결과

본 연구의 초점집단면접(FGI)을 통해 다섯 가지 주요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총 15개의 핵심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도출된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도전적 행동 형태, 빈도 및 원인, 도전적 행동 예방을 위한 노력, 도전적 행동 발생 시 대처 방안, 도전적 행동 관련 교육 현황 및 고려 사항, 그리고 현장 종사자를 위한 도전적 행동 교육과정의 내용과 방향이다. 각 주요 주제에 포함되는 핵심 내용은 <표 III-1>과 같다.

표 III-1. FGI를 통해 도출된 주요 주제 및 핵심 내용
구분 주요 주제 핵심 내용
도전적 행동 지원 현황 도전적 행동 형태, 빈도 및 원인 • 자·타해 등과 같은 안전에 위협이 되는 도전적 행동
• 주 3~4회 정도 발생하는 심각한 도전적 행동
• 당사자의 필요·요구의 미충족으로 인한 도전적 행동
도전적 행동 예방을 위한 노력 • 도전적 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예방적 환경 조성
• 발달장애인 당사자 중심의 활동(좋은 날/ 나쁜 날)
도전적 행동 발생 시 대처 방안 • 도전적 행동 회피 자체가 중요
도전적 행동 예방 및 지원 교육과정 도전적 행동 교육 현황 및 고려 사항 • 발달장애 이해 교육의 필수성
• 발달장애, 도전적 행동 관련된 교육의 제한성
• 교육 참여의 현실적인 제약
• 종사자의 잦은 교체와 도전적 행동 지원 역량의 저해
현장 종사자를 위한 도전적 행동 교육과정 내용과 방향 • 인권 중심의 도전적 행동 예방 및 지원 교육
• 발달장애와 도전적 행동에 대한 이해
• 도전적 행동 발생 시 모두의 안전을 위한 위기 관리
• 종사자에 대한 집중적인 기본교육과 필수적인 보수 교육
• 현장 종사자를 전문가로 양성하기 위한 심화 교육
Download Excel Table
1. 도전적 행동 형태, 빈도 및 원인
1) 자·타해 등과 같은 안전에 위협이 되는 도전적 행동

성인기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에서 나타나는 도전적 행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그중 특히 대처하기 어려운 행동들은 당사자와 타인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자해, 이탈, 이식 행동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타인을 향한 공격적인 행동과 전조 증상 없이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도전적 행동도 대처하기 어려운 주요 도전적 행동으로 언급되었다.

6차선 도로로 이렇게 그냥 뛰어간 아이도 있었고, 깨무는 아이도 있었고 까먹고 있었는데 맞아 저런 힘든 것도 있었다……. (현장 실무자-K)

엘리베이터 타고 눈 깜짝할 사이에 내려가서 없어져가지고 찾으러 다니는 행동 그다음에 자기 이제 또 아이들 중에는 자기 상처, 어디 상처 났거나 이렇게 놨으면 그거를 다 뜯어서 다리가 (중략) 다 흉이 졌어요. 다 뜯어가지고 제가 이제 어떻게 할 수가 없고 이제 손톱도 이 두 번째 손톱은 아예 손톱이 없어. (현장 실무자-J)

이렇게 막 크레파스 같은 거 입에 이렇게 무조건 넣는 것, 크레파스든지 뭐든지 다 입에 넣는 그런……. (현장 실무자-J)

한 번 (목이) 잡혀진 적이 있어 가지고 이렇게 죽는가, 이러다가 죽는 건가라는 생각을 했었거든요. (현장 전문가-E)

전조 증상이 없는 전조 증상이라도 있으면 저희가 대처가 가능한데 전조 증상 없이 갑자기 이렇게 무슨 일이니, 도대체 뭐가 이렇게 힘들게 하니. (중략) 정말로 어려운 거죠. 고조 증상이 없는, 가장 대처하기 어려웠던……. (현장 전문가-E)

어머니의 머리를 잡아 뜯는다든지 안 되니까 직원들 머리도 잡아 뜯고 이러면 그래서 그런 거 말리고……. (현장 전문가-H)

2) 주 3~4회 정도 발생하는 심각한 도전적 행동

발달장애인 복지 실천 현장에서 도전적 행동의 발생 빈도는 일상적으로 매우 높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대처하기 어려운 도전적 행동은 일주일에 3~4회 발생하며, 특정 발달장애인 당사자가 지속적으로 도전적 행동을 보이거나 여러 당사자가 번갈아 가며 이러한 행동을 보인다고 하였다.

거의 매일 그렇죠. 거의 매일. 그리고 한 사람만이 아니라 여럿이기 때문에 번갈아가면서…….(현장 전문가-E)

일주일에 세, 네 번이라고 쓰다가 생각해 보니까 대처하기 힘든 건 세, 네 번인 것 같아요. 나머지는 거의 매일 일어나는 일상이고 그 일상 안에서 그래도 나름 대처에 성공했다라는 케이스와 이건 대처하지 못 했다라는 것으로…….(현장 전문가-E)

저희도 좀 유사한 것 같아요. (중략) 중차대한 문제들은 일주일에 한 두세 번 정도이고 나머지는 프로그램 안에서 담당자하고 주변에서 같이 선생님들이 도우면서 해결할 수 있는 그런 행동들이 좀 많습니다. (현장 전문가-G)

3) 당사자의 필요·요구의 미충족으로 인한 도전적 행동

연구 참여자들은 도전적 행동의 발생 원인을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필요와 요구가 충족되지 않는 상황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또한, 가정이나 복지 현장에서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경우에도 도전적 행동이 발생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다.

편안하게 해 주고 이용자를 하나의 존재로 받아들이면 조금 편안해지고……. 고치는 거에만 중점을 두면 이제 그때부터 모든 불화가 시작되는거에요. (보호자-C)

도전적인 행동하는 게 자기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니까 하는 것 같더라고요. 많이 안다고는 하지만 사실은 알아도 못 해 주는 경우가 많이 있거든요. (보호자-D)

연구 참여자들은 학령기 이후 성인기 발달장애인이 도전적 행동으로 인해 사회적 참여가 제한된 환경에서 일상을 보내는 것이 가정과 복지 현장에서의 도전적 행동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도 제시하였다.

고등학교 전공과까지 이렇게 맺어지던 관계들이 이제 끊기는 거잖아요. 끊기면서 친구도 못 만나고 활동 활동할 수 있는 이제 학교에 다니면 일주일에 한 번씩 제과 제빵에 간다거나 한 달에 몇 번씩 난타를 하러 간다거나 이런 프로그램들이 지속적으로 돌아가 주잖아요. 이제 성인이 되면서 갑자기 이런 것들이 뚝뚝뚝 끊긴다고 생각을 하면 처음에는 편할 수 있겠지만 나중에 점점 가면서 이제 2차적인 장애가 오기도…… (현장 실무자-I)

성인이 되면 다 어디 갔어? 집 안에 다 쳐박혀 있어요. 갈 데가 없어. 어른들 주간보호센터도 많지 않고 거기 들어갈래도 엄청나게 치열하고 경쟁해야 되고 대기해야 되고 그러면 갈 데가 없으니까. 그럼 그 아이들이 성인이 되면서 어떤 개입이 전혀 안되고 어떤 공적인 치료든 중재든 뭐든 해 줄 수 있는 것들이 줄어드는 거에요. (현장 실무자-J)

2. 도전적 행동 예방을 위한 노력
1) 도전적 행동을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예방적 환경 조성

연구 참여자들은 도전적 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강압적인 대처보다는 예방적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이는 도전적 행동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경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강압적으로 하거나 이러면 오히려 더 화를 내는 분들이 대부분이니까 그렇다고 막연하게 달랠 수만은 없다고 생각을 해서 환경을 많이 바꿔줬던 것 같아요. 그래서 차도를 뛰어드는 친구는 찻길보다는 골목길 위주로 다닌다든지 답답한 공간을 싫어하면 좀 큰 공간으로 프로그램 장소를 바꿔준다든지 이렇게 해서 진행을 했던 것 같아요. 환경을 가장 많이…… (현장 실무자-K)

가장 좋은 건 예방하는 거 이제 환경을 진짜 바꿔주는 방법 또는 아이의 기분을 전환시키는 거 중간중간에 수업 중간에 아이가 그런 어떤 도전적 행동이 나타나면은 빨리 전환시켜주는 게 좋더라고요. (현장 실무자-J)

한편으로는 성인기 발달장애인 복지 실천 현장에서 도전적 행동 지원을 위한 전문적인 역량이 필요하나 현실적으로 제한적이기 때문에 우선적 중요하게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예방적 환경 구성이라고 하였다.

발달장애인 경험이 많이 없는 분들이 이제 오셔서 전문적인 걸 하기에는 사실 어려운 감이 있었기 때문에 가장 우선적으로 할 수 있는 건 환경을 많이 바꿨던 것 같아요. (현장 실무자-K)

2) 발달장애인 당사자 중심의 활동(좋은 날/나쁜 날)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을 예방하기 위해 예방적인 환경을 조성하는 것과 함께 당사자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고 하였다. 당사자의 상태가 좋지 않은 날은 수용 가능한 선에서 충족시킴으로써 도전적 행동을 예방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장애인복지 실천 현장 종사자들이 당사자에 대해 주양육자 등을 통해 알아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저도 울면서 자꾸 본인을 때리는 분 계셨는데 이런 분도 이제 핑 하면서 울려는 조짐이 보이면은 좋아하는 퍼즐을 이렇게 딱 드리면은 거기에 포커스 하니까 이제 예상되는 부정적 행동을 덜 하시는 경우가 있었어요. 그래서 뭔가 그분이 좋아하는 그런 활동들을 얼른 제시를 하면은 좀 줄어들지 않을까. (현장 실무자-L)

오늘 아무 일도 없이 잘 등원했는지가 가장 중요한 일이라 얼굴 표정이나 뭔가 다른 일이 있었는지를 먼저 여쭙게 된 것 같아요. (중략) 아침에 어떤 일이 있었습니다라고 말씀 해 주시면 그 날은 일단 당사자에게는 저희가 최대한 기분을 맞춰주려고 노력을 하고 요구가 있다라고 하면 들어줄 수 있는, 그러니까 저희가 이제 수용 가능한 욕구들에 한해서는 들어주도록 이렇게 노력을 했던 편이고요. (현장 전문가-E)

어머님들이 아침에 문자 같은 것 주세요. 그러면 전체적으로 선생님들하고 공유해서 (중략) 선생님 나름으로 또 대처들을 하시거든요. (현장 전문가-I)

3. 도전적 행동 발생 시 대처를 위한 노력
1) 도전적 행동 회피 자체가 중요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은 현장에서 도전적 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도전적 행동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무엇보다 도전적 행동의 발생 시간과 강도가 최소한으로 나타날 수 있도록 또 당사자, 종사자 및 다른 이용자 모두의 안전을 위해 회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저희가 어떤 그룹 내에서 그 활동에 꼭 참여해야 한다는 강제성은 빼고 그 사람 중심으로, 친구가 만약에 조금 한 호흡 쉬어서 갈 수 있는 좀 그니까 진정 할 수 있는 방법들을 조금 우선적으로 하고……. (현장 전문가-G)

어떤 어려운 행동이 공격 성향으로 나타났고 공격 행동을 한 사람에게만 집중을 하다 보니까 그 뒤에서 그 장면을 보고 울고 막 힘들어하는 친구들이 조금 방치되는 경우가 있어서 그게 정말 어렵더라고요. 그래서 이제 저희 같은 경우는 분리를 해서……. (현장 전문가-G)

스트레스를 받는 것 같다면 과제를 회피하고 싶어서 이런 도전적 행동이 나타난다고 할지라도 우선 다른 활동으로 좀 전환을 하고 거기에 적응하면 다시 또 제시하는 방법도 쓰는 것이 좋은 것 같아요. (현장 실무자-J)

4. 도전적 행동 관련 교육의 현황 및 고려 사항
1) 발달장애 이해 교육의 필수성

연구 참여자들은 도전적 행동을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서는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 종사자가 발달장애와 발달장애인을 이해하는 것이 최우선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에서 근무하는 종사자의 경우 근무 전 장애인 관련 교과목을 1∼2과목 정도만 전공 선택으로 이수하고 투입되는 경우가 많으며, 해당 교과목에서 발달장애와 발달장애인에 대한 내용은 제한적이라고 보았다. 이에 근무 전 발달장애와 발달장애인에 대한 교육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도전적인 행동을 잘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해서 필요한 역량은 그 대상에 대한 이해라고 생각해요. (중략) 그 대상자를 잘 이해하기 때문에 내가 그 사람을 배려하고 존중하고 그래서 온화한 교수로 긍정적인 행동 지원을 할 수 있는 그런 것들이 맥락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현장 전문가-G)

학부 커리큘럼을 들어보면 장애인 관련한 전공이 1개 내지 2개 이렇게 해서 막상 이게 딱 현장으로 나오셨을 때 (중략) 정말 기본적인 발달장애인의 특성도 도대체 왜 저러는거야 이렇게 말씀을 하시는 분들이 되게 많아요. (현장 실무자-K)

발달장애인을 이해하는 게 우선이 돼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그 다음에는 이제 아이의 이런 도전적 행동에 대해 대처하기 위한 어떤 행동들이 있는지에 대한 개념, 그런 행동을 어떻게 다뤄야 할지, 대처해야 할지 알 수 있는 어떤 이론적인 배경도 필요하지 않을까? (현장 실무자-J)

사회복지사라는 자격증을 갖고 왔다면 (중략) 아동, 장애아동을 만나든, 장애 청소년을 만나든, 장애 성인을 만나든, 최중증을 만나든 그게 시설이든 아니면 주간 보호든 단기 보호든 아니면 재활 시설이든 이렇게 되면 거기에 가서 만나는 사람들에 대해서 좀 체계적으로 들어가야 되는데……. (교육 전문가-M)

발달장애 특성과 의사소통 자체에 대해서 정확하게 교육을 받지 못한 경우도 사실 꽤 있어요. (교육 전문가-Q)

2) 발달장애·도전적 행동 관련된 교육의 제한성

발달장애인 복지 실천 현장 종사자와 도전적 행동 교육 전문가들은 발달장애와 도전적 행동에 대한 교육은 다른 교육에 일부 포함된 정도이며, 집중적인 교육은 제한적이었다고 하였다.

저희가 접할 수 있는 교육이 저희 같은 경우는 거의 없었어요. 사회복지협의회나 사회서비스원이나 또 주변에 다른 기관들에서 교육하는 것 보면 발달장애인들 대상으로 한 교육은 거의 없었거든요. 그래서 저희가 자체적으로 이에 책이라든지 자료들을 찾아보려고 해도 또 많지도 않아요. (현장 전문가-H)

도전적 행동이라든지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해서 직원 교육을 통해서든 혹은 개인이 호기심을 갖거나 필요해 들어는 봤는데 집중적으로 긍정적 행동지원의 이해, 긍정적 행동지원의 실제 사례 이런 식으로 타이틀을 달고 하는 연수는 잘 못 들어보셨다고 하더라고요. (중략) 종사자분들도 생각보다 그냥 이렇게 살짝 스쳐 들은 정도지 막상 이 도전적 행동에 대한 어떤 긍정적 행동지원이나 집중적인 어떤 연수는 그렇게 많이 들어보지 못하셨다고. 그래서 짧지만 3시간에 함축적인 교육이 좀 도움이 됐다라는 말씀을……. (교육 전문가-O)

3) 교육 참여의 현실적 제약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발달장애와 도전적 행동 관련된 교육을 찾아볼 수 있지만, 교육에 참여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하였다. 이에 발달장애와 도전적 행동 관련 교육을 기본적으로 이수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장치가 필요하며, 도전적 행동의 효과적인 예방과 대처를 위해 종사자뿐만 아니라 기관 구성원 전체가 교육을 이수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자격을 갖춰서 와서 해야 된다, 물론 이게 가장 좋은 케이스겠지만 실질적으로 그런 분들이 다양한 노출로, 얼마나 양질의 분들이 저희 애들한테 올지는 잘 모르겠어. 일단 오시는 분에 대한 교육이 문제일 것 같고요. (보호자-B)

안내는 많이 와요. 한 달에 한 번씩은 할 수 있을 정도로 복지인재원이나 개발원에서 메일로 안내는 많이 오는데 사실 참여는 어려워요. 왜냐하면 1박 2일 과정이고, 그러면 저희가 이제 이용자를 아예 못 나오게 하고 1박 2일을 가야 되는데 그것도 되게 부담스럽고. 사실 하루에 6시간에서 8시간을, 거의 그냥 하루 종일. 사실 이것 1시간 빼는 것도 힘든데 그렇게 긴 강의가 돼버리면 사실 거의 못 듣고 지나가는 경우도 많아요. (현장 실무자-K)

발달장애인 전문가 양성 교육 열었어요, 오세요 그랬는데 모집이 안 돼. 왜냐하면 그 분들이 현장을 몰라. 열면 오는 줄 아는데 못 가요.(현장 전문가-G)

교육도 아까 말씀드렸듯이 직원들이 참여하고 싶어도 여러 가지 관련 근무 때문에 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이 있는 것 같고 해서 (중략) 저희 장애인 복지 시설에 근무하면 꼭 필수로 교육을 받을 수 있게끔 하면 좋겠고요. (현장 전문가-H)

발달장애인을 만나고 있는 현장에서는 어쨌든 기본적으로 이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보수 교육에서 반드시 받게 한다거나 뭔가 좀 구조화되어 있어야지 이게 되는거지 내가 필요해서 듣고 나는 안 할래요, 안 듣고 이런 문제는 아닌. (현장 전문가-F)

교육을 돌봄자만 받는 게 아니라 사무 인력,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언어치료사 다 같이 듣게 해서 이 조직 전체가 기능하게끔 움직여야지 (중략) 행동 지원은 일관성이 굉장히 중요한데 (중략) 사무 인력들의 적극적인 서포트도 중요하다고 생각을 해서 전체 직원들 교육을 기본으로……. (교육 전문가-N)

4) 종사자의 잦은 교체와 도전적 행동 지원 역량의 저해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은 인력 채용과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도전적 행동 지원 역량의 향상을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들은 근속 연수가 낮고 잦은 인력 교체로 인해 지속적인 교육과 전문성 향상이 어렵다고 지적하였다.

내가 얘네들 같은 경우는 좀 한 분이 이렇게 오래 지속적으로 했으면 좋겠다. 얘에 대해서 파악을 좀 할 만 하면 선생님이 바뀌어버리고, 애들도 적응할만 하면은 선생님이 바뀌고. 이게 애들한테 이 안 좋은 마이너스 요인들이 많죠. (보호자-D)

사실은 저희가 현장에서 걱정 되는게 뭐냐면 장애인 복지 쪽에 안 와요 이제 사람들이. 그런데 막상 현장에서는 더 많은 업무들을 요구해요. 그리고 더 많은 전문가가 돼라고 요구를 해요. (현장 전문가-G)

요즘에 주간활동센터라든지 이런 데서 사람을 뽑고자 하면 지원하는 사람 자체가 없고 또 저희 같은 경우에도 지금 처우가 되게 열악하거든요. (중략) 거의 최저임금 받고 하다 보니까 이직률이 너무 높고, 그러다 보니까 전문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죠. 계속 신입을 뽑는 수 밖에 없고, 그러니까 잘 모르고 일을 배울만 하면 또 떠나고. (현장 전문가-H)

전국적일 거예요. 특히 발달장애 관련한 부분은 직원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에요. 그러다 보니 가장 기본 베이스가 필요함을 알면서도 그 베이스를 무시하고 무조건 현장 투입이 되다 보니까 거기서 인권 침해 사례가 너무너무 많이 발생을 하고 있는거죠. 그래서 관련한 부분에 대해서는 어떤 법적, 제도적 장치가 해결되지 않는 한은 지금 저희가 논의하는 건 미봉책이다, 임시 방편입니다. (교육 전문가-M)

보통 평균 근속이 1년 남짓, 1년 3개월 가량 근속 연수가 되고 있어서 신입 직원이 굉장히 많이 바뀌어서 다음 모임 전에 바뀐 분이 또 바뀌고 하는 경우들이 있어서……. (교육 전문가-R)

5. 현장 종사자를 위한 도전적 행동 교육과정 내용과 방향
1) 인권 중심의 도전적 행동 예방 및 지원 교육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 도전적 행동 예방 및 지원과 관련된 교육은 인권에 기반한 내용을 구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특히, 보편적인 인권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발달장애인의 어떤 행동적 특성이나 도전 행동에 대한 기본적 이해는 좀 필요한데(중략) 발달장애인 인권과 자기 결정을 먼저 교육하고 발달장애, 도전적 행동의 이해 정도 교육하는게 처음 들어온 사람들이 받는 정도로는 적당하지 않을까……. (현장 전문가-G)

발달장애인 인권이 아니라 인권 기반이어야 해요. 늘상 누군가 하나를 대상화시키는 순간 그 사람은 너희와 다르다, 출발점이 다르다라고 보는 순간 차별은 너무 쉽게 일어나요. (교육 전문가-M)

인권 감수성이나 인권이 기본 바탕이 되는 건 저는 절대적으로 공감하고요. 도전적 행동 뿐만 아니라 모든 사회 과학에서는 인권이 토대가 되어야 한다라는 대전제에 절대적으로 동감하고요. (교육 전문가-O)

기본적인 인권 베이스를 공고히, 우리가 소위 말하는 기초 과정 안에서 (중략) 다음에 거기에다 긍정적 행동지원 이런 과정들이 들어가야……. (교육 전문가-M)

2) 발달장애와 도전적 행동에 대한 이해

도전적 행동에 대한 교육 시, 발달장애인 당사자 중심의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 내용에 대해 요구하였다. 이를 위해 당사자의 개인 이력, 개인의 필요·요구·흥미 등의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방법에 대해 전문적으로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하였을 때 발달장애인 당사자와 도전적 행동을 바라보는 시각과 관점을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당사자를 중심으로 두고 치료사든, 교사든, 활동 지원인이든 아니면 부모든 모든 사람들이 장애 당사자를 중심으로 어떻게 소통해야 할지에 대한 이 부분을 가장 먼저 얘기하고……. (교육 전문가-M)

당사자의 시각에서 무엇이 필요해서 왜 저러는가에 대한 그런 파악을 할 수 있는 기술과 태도가 좀 필요할거라고 생각합니다. 이 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 관련인들한테 정보를 잘 취합하고 수집하려고 하는 자세가 가자 선행돼야 하는 내용 중에 하나인 것 같고요. (교육 전문가-O)

마인드가 너무너무 중요하다라는 게 아까 그 스토리가 있잖아요. 개인 마다의 스토리. 우리도 사연이 있잖아요. 그 사연에 따라서 지금의 나의 성격적인 어떤 한계든, 긍정적인 지점이든 뭐든 존재할 수 있는 건데 자꾸 발달장애인에게는 그 스토리를 보지 않아요. 역사적으로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근데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이해하면 지금 왜 이렇게 표현해내고 있는지가 사실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단서들이 존재하는데 그걸 안 보려고 하는 거에요. (교육 전문가-N)

행동 자체에만 자꾸 함몰되는 어려움이 있어서 당사자의 긍정적인 정보들을 확인하고 끄집어내서 그 긍정적인 정보를 가지고 지원 계획을 설계하고……. (교육 전문가-R)

3) 도전적 행동 발생 시 모두의 안전을 위한 위기 관리

도전적 행동에 대한 교육 시 발달장애인 당사자와 종사자 모두의 안전을 보장하는 긴급 전략을 포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특히, 도전적 행동이 발생한 순간 이루어져야 하는 지원 방법과 긴급 전략 교육은 반드시 인권에 기반한 교육과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도전적 행동을 할 때 가장 중요한게 그 종사자들을 보호하는 것도 중요한 거에요. 사실 우리 친구들 보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종사자들이 다치지 않게 해라. (보호자-A)

찻길로 뛰어 들어가거나 갑자기 어떤 위기 상황이 생겼을 때 사실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 등이 준비돼야겠다 (중략) 그런 방향성을 좀 정리해서 제시 해 주시면 그런 부분들을 각성하고 지원할 수 있는 하나의 근거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교육 전문가-N)

(당사자의 도전적 행동으로부터) 어떻게 빠져나오고 이런 실질적인 것 있잖아요. (중략) 되게 중요하더라고요. (현장 전문가 - G)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 종사자를 위한 교육과정에 도전적 행동 발생 시 당사자와 종사자의 안전을 위해 위기 개입에 대한 내용이 필요하지만 위기 개입에 대해 명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되었다.

긴급 개입 중재 전략 이렇게 해서 신체적 개입이 들어가는 상황들이 빈번하게 현장에서는 나타나고 있고, 거기에서 배웠던 긴급 개입 전략에서 몰두하는 담당자 그룹이 형성 되더라고요. (교육 전문가-R)

4) 종사자에 대한 집중적인 기본교육과 필수적인 보수 교육

연구 참여자들은 도전적 행동 관련 교육이 처음 시작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집중적인 기본교육과, 주기적인 보수 교육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였다.

초기에 딱 들어왔을 때 처음 일주일을 먼저 집중 교육을 진행하고 들어갔었는데 그나마 이제 조금 이제 알겠다 싶을 때 그 다음부터 거의 매달 한 번씩은 교육이 계속 있었거든요. (교육 전문가-R)

발달장애인에 대한 기본 지식 정도는 하루 정도는 들어도 되지만 실제로 현장 투입되기 전까지는 한두 달 정도 계속 강의만 들었는데 솔직히 그냥 지나쳐 가더라고요. (중략) 하지만 현장에 들어가니까 그제서야 강의가 생각나고 들리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그냥 하루 정도는 기본적인 것 시키고 그 다음에 현장에 투입되면서 계속 보수적으로 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현장 실무자-L)

기본 교육을 하고 그다음에도 지속적으로 이제 교육을 하지 않을 수가 없는게 직원이 계속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계속 이제 뭔가 새로운 직원들이 계속 유입되는 그런 좀 한계들이 있어서 거의 연중 내내 하고, 매달 한 번씩은 정기 교육을 하고 그런 형태로……. (교육 전문가-N)

첫 달은 내(가 담당하는) 아이만 볼 수 있다면, 그 다음 달엔 옆에 있는 아이가 좀 보이거든요. 똑같은 강의를 들어서 쟤는 또 이런건가 보다 이렇게 할 수 있으니까 자주 해서 시야를 넓히는게 필요하지 않을까. (현장 실무자-K)

5) 현장 종사자를 전문가로 양성하기 위한 심화 교육의 필요성

연구 참여자들은 도전적 행동을 예방하고 지원하기 위해 일관성 있게 행동 지원을 할 수 있는 선임급 인력을 양성하는 심화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특히, 외부 전문가와 협력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행동 중재를 할 때 일관성 있게 가는게 중요하잖아요. 어떤 분을 중심으로 코멘트 받아서 해 보고 또 안되면 다르게 해 보기도 하지만 어쨌든 전체가 그 친구에 대해서 이렇게 중재하자라는 약속이 이행이 되려면 그런 전문가는 선임처럼 필요한 것 같아요. (현장 전문가-G)

우리 중 한 명은 전체를 컨트롤 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 사람이 있으면 좋겠다. 그리고 그 사람은 지속적으로 보수 교육을 할 수 있는 기회들이 주어지고 그게 연간 일정한 시간으로 가면 좋겠는데. (현장 전문가-F)

우리가 원하는 건 우리 그룹 프로그램 내에 투입해서 지원해 줄 수 있는 인력이나 자문을 해 줄 수 있는 인력이 필요한 거잖아요. (현장 전문가-G)

또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심화 교육은 실제 현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와 같은 사례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수준을 목표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특히, 현재 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 소그룹 형태의 케이스 컨퍼런스 교육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말하였다.

(기존 심화 교육이) 개론 수준의 것들이 약간 더 반복될 뿐이지 정말 자기 현장의 문제를 적용해서 자기 문제를 해결할 수준의 심화이지 않은 경우들이 많아서 교육의 목표가 분명하고 명확하게 달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현장 전문가-F)

한 사례에 대해 추적하면서 피드백 받는 형태의 사례에 대한 케이스 컨퍼런스가 굉장히 효과가 있지 않았나……. (교육 전문가-R)

이론을 하고 뒤에 이제 사례를 직접 들어서 솔루션을 주시면 선생님들이 이제 그걸 가지고 변형을 해서 진행을 하시더라고요. (현장 실무자-K)

저희가 이론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실제 사례를 통해서 어떻게 했다라는 그 대응방안이 정말 중요했던 것 같아요. (현장 전문가-E)

실제 사례에서 어떤 적절한 중재 방안들을 집중해서 한 두 시간 보는게 아니라 계속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연수받으면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라는게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교육 전문가-O)

Ⅳ. 논의 및 제언

본 연구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보호자, 현장 종사자, 도전적 행동에 대해 교육하는 전문가, 총 18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보호자, 종사자들은 현장에서 나타나는 대처하기 어려운 도전적 행동 형태, 발생빈도 및 원인과 이를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보고하였다. 또 도전적 행동에 대한 교육 현황 및 발달장애인 복지 실천 현장 종사자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시 요구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 및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성인기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에서 도전적 행동이 일상적으로 발생하며, 특히 자해, 이탈, 이식 행동과 같은 발달장애인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동이 현장에서 대처하기 매우 어렵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이러한 도전적 행동이 주로 발달장애인 당사자의 필요와 요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고 지적하였다. 이는 선행 연구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난 결과로, 성인기 발달장애인이 정규 교육을 마친 후 사회적 참여 기회가 제한된 환경에서 생활하는 것이 도전적 행동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이복실, 2015). 이와 같은 결과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사회적 고립이 그들의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그 결과로 도전적 행동이 촉발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도전적 행동과 관련된 교육의 내용은 예방적인 환경 조성 및 일상생활 증진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최근 시행된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사업에서는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과 ‘최중증 발달장애인에게 적합한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국외에서 예방적 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반영하는 대표적인 사례로 TEACCH (Treatment and Education of Autistic and Related Communication-Handicapped Children) 프로그램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자폐스펙트럼장애인을 위한 시각적 학습 환경을 조성하여 독립적인 일상생활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접근법으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도 권장하는 접근법이다(CDC, 2024).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구체적인 환경 조성 방안을 교육과정에 포함시켜 현장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선행 연구에 의하면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제한적일수록 ‘도전적 행동을 나타내는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Kim, 2023).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을 향상할 수 있고 이를 성인기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와 이를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교육 운영 방법 및 교육과정 내용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제시하였다. 종사자들의 안정적 근무 환경을 조성하고, 그들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본 교육과 지속적인 보수 교육이 필수적이라는 점이 강조되었다. 특히, 근속 연수가 짧고 새로운 인력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현실에서, 주기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종사자들이 도전적 행동을 이해하고 대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은 인권 교육, 발달장애에 대한 이해, 도전적 행동의 원인을 파악하는 교육 등을 포함해야 하며, 이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관리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도전적 행동 예방을 위해서는 발달장애인의 개인 이력, 필요, 욕구, 흥미 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되었다. 이러한 사람 중심의 접근법은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이 단순히 그들의 장애 때문이 아니라, 환경적 요인과 상황적 맥락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는 인식을 종사자들에게 확산시킬 수 있다(김고은, 2021). 또한, 해당 교육에는 도전적 행동 발생 시 발달장애인 당사자와 종사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대처 방법과 위기 상황 시 전략 등에 대해서도 포함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평생교육기관·시설 이용자의 도전적 행동에 대해 종사자가 대응할 때의 어려운 점으로 도전적 행동에 대한 개입 수준 설정의 어려움에 응답한 비율이 높았던 것으로 보아 안전한 성인기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을 위한 교육 내용으로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최진혁 외, 2021).

넷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성인기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 종사자를 도전적 행동 전문가로 양성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현장 경험과 사례 중심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행동 분석 전문가와 협력하여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례를 중심으로 한 컨퍼런스 형태의 교육이 효과적이라는 점을 보고하였다. 이는 선행 연구에서도 제기된 바 있고(한국장애인개발원, 2021), 종사자들의 도전적 행동 지원 역량을 체계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사례 중심의 구체적인 교육 방안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보호자, 종사자의 도전적 행동 지원 경험을 살펴보았으며, 보호자, 종사자, 도전적 행동 교육 전문가를 포함한 연구 참여자들이 언급한 도전적 행동 지원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에 반영되어야 할 주요 교육 내용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 연구 참여자인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보호자, 종사자가 특정 지역에 거주하거나 근무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후 성인기 발달장애인 복지 현장 종사자를 위한 교육과정 수립을 위한 논의 시에는 각 지역 또는 권역별 연구를 토대로 한 전국 단위의 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성인기 발달장애인 도전적 행동을 지원하는 교육과정의 핵심은 현장 종사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어야 하며,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검증된 연구결과의 반영과 이후의 지속적인 개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지원 교육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공유 및 확산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 이와 같은 교육과정이 수립되고 지속적으로 운영 및 개편되어 나갈 수 있는 정부와 관련 단체의 정책적 지원과 법적 근거의 마련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Notes

이 연구는 2023년 대전광역시 지방보조금 지원 사업을 통한 대전광역시장애인부모회의「발달장애인 도전적 행동 대응 교육과정 및 매뉴얼 제작」연구 지원에 따른 연구 결과물의 일부를 수정 및 보완한 것임.

This study is a revised and supplemented version of a research project funded by the Daejeon Metropolitan Mayor's Association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the Daejeon Metropolitan City Local Subsidy Support Project in 2023, “Development of a Curriculum and Manual for Supporting Challenging Behavior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참고문헌

1.

강승원, 김민경 (2020). 성인 발달장애인의 건강상태와 도전적 행동이 부모의 돌봄 부담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21, 39, 17-28.

2.

국립정신건강센터 (2018). 문제행동치료의 표준지침 및 치료매뉴얼. 서울: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3.

김고은 (2021). 장애인복지 종사자 대상 도전적 행동 지원교육의 효과성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53, 155-185.

4.

방수진, 이성봉 (2021).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종사자의 응용행동분석에 대한 인식과 요구. 행동분석·지원연구, 8(1), 183-198.

5.

서울특별시장애인권익옹호기관 (2022). 2022 발달장애인 어려운행동 컨설팅 매뉴얼. 서울: 서울특별시장애인권익옹호기관.

6.

유수진, 이은혜, 한정은 (2020). 성인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 관련 현황 및 종사자의 인식에 대한 연구: 서울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센터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2), 383-392.

7.

윤선미, 정이윤, 양호정 (2022). 초기 성인기 발달장애인 자녀의 도전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경험. 정서·행동장애연구, 38(3), 411-440.

8.

이복실 (2015). 중증 성인발달장애인 가족의 돌봄 부담과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 어머니와 실무자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 28, 5-27.

9.

임원균, 오은경 (2014). 발달장애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예측요인 연구.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11, 173-200.

10.

임혜경, 박재국, 김민경, 장재성 (2018). 부모 집단면담을 통한 성인기 발달장애 자녀의 도전적 행동 유형과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교육혁신연구, 28(1), 333-359.

11.

임혜경, 황순영 (2018). 성인기 발달장애 자녀 어머니가 경험하는 돌봄 부담감에 따른 가족지원 방안 탐색. 한국가족복지학, 59, 81-112.

12.

최진혁, 김대용, 김민영 (2021). 발달장애인의 도전적 행동에 대한 보호자 및 평생교육기관 종사자의 중재 실태 및 인식 조사. 특수아동교육연구, 23(2), 165-189.

13.

한국보건복지인재원 (2022). 발달장애인 지원종사자의 교육실태 및 수요조사. 충북: 한국보건복지인재원.

14.

한국장애인개발원 (2021). 발달장애인 도전적행동 지원방안 연구.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

15.

Baker, B. L., McIntyre, L. L., Blacher, J., Crnic, K., Edelbrock, C., & Low, C. (2003). Pre-school children with and without developmental delay: Behaviour problems and parenting stress over time.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7, 217-230.

16.

Bowring, D. L., Totsika, V., Hastings, R. P., Toogood, S., & Griffith, G. M. (2017). Challenging behaviours in adults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A total population study and exploration of risk indices.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6(1), 16-32.

17.

Dreyfus, S., & Dowse, L. (2020). Experiences of parents who support a family member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challenging behaviour: “This is what I deal with every single day”. Journal of Intellectual & Developmental Disability, 45(1), 12-22.

18.

Emerson E., Cummings, R., Battett, S., Hughes, H., McCool, C., & Toogood, A. (1988). CHALLENGING BEHAVIOUR AND COMMUNITY SERVICES 2. Who are the people who challenge services?. Journal of the British Institute of Mental Handicap (APEX), 16(1), 16-19.

19.

Holden, B., & Gitlesen, J. P. (2006). A total population study of challenging behaviour in the county of Hedmark, Norway: Prevalence, and risk marker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7, 456-465.

20.

Kim, D. Y. (2023). Latent class analysis on types of challenging behavior in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factors affecting the types of challenging behavior. Behavioral Sciences, 13(11):879.

21.

Klaver, M., Van den Hoofdakker, B. J., Wouters, H., De Kuijper, G., Hoekstra, P. J., & De Bildt, A. (2021). Exposure to challenging behaviours and burnout symptoms among care staff: The role of psychological resource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65(2), 173-185.

22.

Macintosh, K., & Dissanayake, C. (2006). Social skills and problem behaviours in school aged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s disorder.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6, 1065-1076.

23.

Matson, J. L., Wilkins, J., & Macken, J. (2008). The relationship of challenging behaviors to severity and symptoms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Mental Health Research in Intellectual Disabilities, 2(1), 29-44.

24.

Murphy, G., Beadle-Brown, J., Wing, L., Gould, J., Shah, A., & Homes, N. (2005). Chronicity of challenging behaviors in people with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or autism; A total population sample.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5, 405-418.

25.

Nicholas, J. S., Charles, J. M., Carpenter, L. A., King, L. B., Jenner, W., & Spratt, E. G. (2008).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utism-spectrum disorders. Annals of Epidemiology, 18(2), 130-136.

26.

Paris, A., Grindle, C., Baker, P., Brown, F. J., Green, B., & Ferreira, N. (2021). Exposure to challenging behaviour and staff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flexibility and organisational support in special education settings. Research in Developmental Disabilities, 116, 104027.

27.

Stewart, D. W., & Shamdasani, P. N. (2018). 포커스 그룹 연구 방법론: 이론과 실제 (강종구, 김영표, 정광조, 최종근 역). 서울: 학지사. (원출판년도 2014)

28.

Tölli, S., Kontio, R., Partanen, P., & Häggman-Laitila, A. (2021). Conceptual framework for a comprehensive competence in managing challenging behaviour: The views of trained instructors.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8(4), 692-705.

29.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4, July 9). Treatment and Interventio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https://www.cdc.gov/autism/treatment/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