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연구 요약

연구 참여자 수; 연령; 진단 연구 장소 연구 설계 중재 종속 변인 결과 유지 일반화 충실도 타당도
Bevill et al. (2001) 4; 4~5;심한 발달지체, 자폐성 장애 유치원 특수학급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단계적 일치훈련 (say-do), 칭찬 선택한 놀이 참여, 놀이 완수 아동에 따라 요구되는 중재 단계 차이, 아동 모두 선택한 활동 완수, 참여 향상 + - + -
Byra et al. (2018) 2; 5-9, 6-11;자폐성장애 클리닉 AB 설계 시뮬레이션과 일치 훈련(say-do), 강화 배변위생 기술 아동 모두 수행 목표 도달, 가정에서 실제 수행, 유지 + + - -
Callicott & Park (2003) 4; 10~14;정서․행동장애 대안 학교 교실 ABAB설계 계획 말하기; 일치(say-do) 강화; 지연 강화 정확한 학습반응(수학), 말하기-행동 일치, 학습 참여 혼합된 결과: 가변적 데이터, 학습반응 효과 혼합, 학습참여 시간 효과 명확하지 않음 - - + -
Cortez et al. (2014) 6; 6~11세;일반 아동, 낮은 수학 수행 수준 학교 실험실 비동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설계 일치 훈련(do-say), 강화 행동-보고 불일치, 일치(읽기, 수학, 음악, 게임) 기초선(차별강화 없음) 조건에서 과제에 따라 일치 수준 차이, 일치 훈련 후 일반화 효과 - + - -
DiCola & Clayton (2017) 5; 4-4~7-3;자폐성 장애 센터 작업실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자극훈련, 일치훈련 (say-do), 수정 피드백, 모델링, 다중사례, 강화 말하기-행동 일치, 불일치 혼합된 결과: 3명 아동 자극 훈련 목표 도달, 1명 일치 도달 - + - -
Domeniconi et al. (2014) 실험 1: 4; 13-1~14-11;일반아동, 학업 실패 학교의 조용한 공간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일치 훈련: 읽고 보고하기(do-say), 강화 정확한 읽기, 부정확한 읽기 보고 일치, 불일치 부정확한 단어 읽기 보고 일치 증가, 일반화 - + - -
실험 2: 7; 8-5~12-6;일반아동, 낮은 학업 수준 학교 실험실 비동시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일치 훈련: 읽고 보고하기(do-say), 강화 정확한 읽기, 부정확한 읽기 보고 일치, 불일치 부정확한 단어 읽기 보고 일치 증가, 일반화 - + - -
Huffman et al. (2016) 1; 6; 다운증후군 통합학급 전이 시간 상황 간 중다기초선 설계 일치 훈련(say-do-report) 패키지: 시각 단서와 모델링(흥미자극사용), 일치훈련, 강화 과제수행, 순응, 말하기-행동하기-보고 일치 전이과제 수행, 순응 향상, 효과 유지, 말하기-행동하기-보고 높은 수준의 일치 + - + +
Luciano et al. (2001) 11; 3-10~5-1;일반아동 유치원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 일치 훈련(say-do), 강화, 점진적 강화 약화 말하기-행동하기 일치 습득 기준 도달, 유지, 아동에 따라 더 많은 훈련 필요, 상징적 조건에서 일반화 높음 + + - -
Luciano-Soriano et al. (2000) 2; 13~15;지적 장애 (다운증후군) 방과 후 학급 행동간 중다기초선 설계; AB 설계 일치 훈련(say-do-report), 강화, 간헐 강화, 강화 제거, 보고하기 제거 입술 다물기; 서기, 걷기 자세; 팔짱끼고 서기 목표행동 수행 증가, 효과 유지 + - - -
Luciano et al. (2002) 3; 11~15; 발달지체/다운증후군 방과 후 활동 교실 ABC 말하고 행동하기(say-do) 무오류 학습 절차, 촉구, 강화 말한 것 지연 보고, 행동한 것 지연 보고, 말하고 행동하기 일치 또는 불일치 변별 수정 피드백 제공으로 목표 도달 하지 못함, 무오류 훈련 후 매우 높은 수준의 정확한 반응, 유지, 일반화 + + - -
Machalicek et al. (2009) 3; 6~12;자폐성 장애 학교 실외 놀이터/휴식시간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시각적 활동 스케줄, 과제 일치훈련(say-do), 강화 놀이 행동, 문제행동, 과제 일치 단계 정확한 완성 모든 참여 아동 놀이 증가, 문제행동 감소 및 낮은 수준 유지, 정확한 과제 일치 단계 향상 - - + -
Morrison et al. (2002) 4;3-6~5-3;자폐성 장애 유치원 교실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활동 스케줄 훈련, 말하기(say)와 강화, 놀이 일치훈련(say-do) 패키지 과제수행(놀이), 말하기-놀이 일치 놀이 일치훈련 패키지 조건에서 아동들의 과제수행행동 증가, 놀이 일치 증가 - + + +
Rosenberg et al. (2015) 3; 6-8~7-5;자폐성 장애 초등학교 놀이터, 휴식 시간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일치 훈련(say-do), 강화 언어 교환 빈도 (사회적 상호작용) 모든 참여 아동 사회적 상호작용/교류 향상 - - - -
Ruiz-Olivares et al. (2010) 15; 6~7세;일반아동 초등학교 교실 상황간 중다기초선 설계 좋은 행동 게임(good behavior game), 일치 훈련(say-do-report), 강화 파괴적 행동 파괴적 행동 발생 감소, 유지 + - - -
Stokes et al. (2004) 3; 34~38세;자폐성 장애, 중증 지적 장애 주거지의 화장실 AB 설계 과제 분석, 일반적 사례교수, 일치훈련(say-do-report) 배변 후 청결 과제분석 10단계 수행, 청결도 척도 점수 모든 참여자 배변 후 청결 행동 습득, 목표 수준 도달, 유지, 일반화 + + - -
St. Peter et al. (2012) 4; 18~22; 대학생 수면 lab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 자기 보고에 대한 피드백 제공, 100% 정확도 강화 수면 시간에 대한 정확한 보고, 비수면 시간 정확한 보고 향상, 정확한 보고 향상이 수면향상에 변화 없음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