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목표행동의 조작적 정의

선행조건 조작적 정의
연구자가 불투명한 상자에 사물을 넣고 흔들며 시선을 끈다. • 연구자가 상자를 흔들며 제시한 후 5초 이내에 ‘무엇’이 포함된 질문을 한다.• 예: “이게 뭐예요?”, “뭐야?”, “뭐가 있어?”, “뭔데요?” 등
연구자가 사물을 감추고 “00 할래? 그런데 00은 선생님이 치웠어.”라고 말한다. • 연구자의 “치웠어.” 발화 후 5초 이내에, 또는 필요한 사물(예: 퍼즐 등)이 눈에 보이지 않을 때 ‘어디’가 포함된 질문을 한다.• 예: “어디에 있어요?”, “어디?” 등
연구자가 선택에 구체적인 정보가 필요한 사물 여러 개를 동시에 제시한다. • 연구자의 “블록을 끼워서 완성할까?”, “작은 통들 중 하나에 있어.” 발화 후 5초 이내에 ‘어느’ 또는 ‘어떤’이 포함된 질문을 한다.• 예: “어떤 거예요?”, “어느 통에 있어요?”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