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점 | 3D 자극에 대한 조건화된 강화 |
설명 | 유아가 3D 자극(예: 실제 사물)을 관찰하고, 3D 자극이 시각적 관찰반응을 이끌어냄 |
프로토콜 및 참고문헌 | 시각적 관찰반응을 위한 강화제로서3D 자극 조건화(Du et al., 2015; Speckmad et al., 2017) |
약자 | CR+ for 3D Stimuli |
발달점 | 2D 자극에 대한 조건화된 강화 |
설명 | 유아는 2D 자극(예: 사진, 그림)을 관찰하고, 2D 자극이 관찰반응을 이끌어냄. |
프로토콜 및 참고문헌 | 시각적 관찰반응을 위한 강화제로서2D 인쇄 자극을 조건화(Greer & Han, 2015) |
약자 | CR+ for 2D Stimuli |
발달점 | 얼굴에 대한 조건화된 강화 |
설명 | 유아는 근접한 (성인) 얼굴을 향하거나 직접 쳐다봄; (성인) 얼굴은 관찰반응을 이끌어냄 |
프로토콜 및 참고문헌 | 얼굴 관찰반응을 위한 강화 자극으로 조건화(Maffei et al.,2014) |
약자 | CR+ for Face |
발달점 | 음성에 대한 조건화된 강화 |
설명 | 유아가 성인 목소리에 따라 몸을 향하거나성인 목소리에 대한 반응; 성인 목소리가 관찰반응을 이끌어냄 |
프로토콜 및 참고문헌 | 성인 목소리를 관찰반응을 위한 강화 자극으로 설립하기(Greer, Pistoljevic, Cahill, & Du, 2011) |
약자 | CR+ for Voice |
발달점 | 보고-행동하기(See-Do) 동일성을 위한 조건화된 강화 |
설명 | 일반화된 모방으로 학생은 다른 사람의 새로운 행동을 모방함 |
프로토콜 및 참고문헌 | 강화로서 보고-하기 대응을 위한미러 프로토콜(Du & Greer, 2014;) |
약자 | CR+ for See-Do |
발달점 | 듣고-말하기(Hear-Say) 동일성을 위한 조건화된 강화 |
설명 | 언어 기능이 없으나 유아는 모델의 발화에서 들리는 말소리나 단어를 흉내냄(Parroting/Canonical Babbling) |
프로토콜 및 참고문헌 | 자극-자극 연합하기(Sundberg et al., 1996; Yoon & Bennett, 2000), 청각 매칭(Choi et al., 2015; Du et al., 2017), Rapid Motor Imitation(Tsiouri & Greer, 2007) |
약자 | Parrot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