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 특성 | 연구개요 | 제1저자/연도, 연구설계, 연구참여자, 연구목적, 프로그램 명 |
연구참여자 | 연구참여자 수: 총 참여자 수, 실험집단 수, 통제집단 수 |
연구참여자 자녀의 장애유형: 자폐성장애, 발달장애, 지적장애, 발달지연/발달지체, 다운증후군, 뇌성마비, 반응성 애착장애 |
연구참여자 자녀의 연령: 3세 미만, 3-5세, 6-9세, 10세 이상 |
연구방법 | 연구설계: 통제집단 사전-사후 (무선, 비무선), 단일집단 사전-사후 |
연구환경: 온라인(동기, 비동기), 대면 (가정, 복지관/공공기관, 대학 연구실, 사설 치료센터, 병원, 학교/어린이집, 언급없음 |
연구윤리: 국외, 국내 / IRB 승인, IRB 미승인 |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 독립변인 |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유형: 연구자 개발, 선행연구 개발, 검증된 프로그램 |
주요 교육내용: 구분, 주요 교육내용 |
중재 투입시간: 회기수, 회기당 시간중재 방법: 강의, 토론, 교육용비디오, 모델링/역할극, 기록검토, 자녀와 실습, 1:1 코칭, 영상리뷰, 자료제공, 온라인(동기/비동기) |
종속변인 | 부모의 종속변인/측정도구: 심리·정서,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행동중재 지식과 기술, 기타 |
자녀의 종속변인/측정도구: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사회적 행동, 문제행동, 적응행동, 측정 안함 |
연구의 효과성 | 연구결과 | 부모와 관련한 중재 효과성자녀와 관련한 중재 효과성 |
연구의 제한점 | 연구의 제한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