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II-6 A아동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 훈련 내용 및 절차

아동 공격 행동 기능 회기 기능적 의사소통 훈련 내용 및 절차
A 과제 회피 1-3 최대 촉구 제공: 아동에게 숫자찾기 과제를 제시하면 즉각적으로 “아아”소리를 지르며 자신의 뺨을 때리는 행동을 이어서 하기 때문에 “아아”소리가 나타나면 곧바로 손뼉치는 행동을 보여주며 아동의 양손을 잡고 손뼉을 치게 함즉각적인 강화: 아동이 촉구를 받고 손뼉치는 행동을 하면 즉각적으로 “그래 쉬어”라고 말하며 치료실 가운데 있는 러그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반응차단: 중재 초반에 자신의 뺨을 때리는 공격행동이 나타남. 손뼉치는 행동을 모델링하고 신체적 촉구를 하는 그 사이 시간에 뺨을 때리려는 행동을 시도하면 곧바로 뺨을 때리려고 올라 오는 손을 가로막고 무릎 위에 올려주며 연구자를 바라보게 하는 반응차단을 하고 아동의 손을 잡고 손뼉을 치도록 촉구를 줌
4-8 촉구의 점진적인 소거: 공격행동 발생빈도가 50%이하로 낮아지기 시작함. 이 시기부터는 자발적으로 손뼉을 치는 행동이 증가함. 하지만 회기별 중재시간 후반부에는 공격행동을 시도하려는 횟수가 증가했으며, 이때는 손뼉을 치는 모델링만 보여주면 곧바로 행동을 수정하는 모습을 보임즉각적인 강화: 아동이 자발적으로 손뼉을 치면 곧바로 “그래 쉬자”라고 말하며 곧바로 과제를 철회하고 아동이 러그에 가서 선호하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했으며, 자발적인 손뼉치기를 통한 요구에는 놀이활동에 몸놀이까지 제공하여 강화를 줌반응차단: 4회기부터는 중재시간 후반부를 제외하고는 반응차단을 시도할 행동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중재시간 후반부에는 공격행동이 나타나 곧바로 반응을 차단하고, 손뼉치는 모델링을 보여줌. 6회기부터는 아동에게 반응차단을 하면 곧바로 수용하고 힘을 주며 차단된 것을 뿌리치려 하지 않음
9-14 최소촉구: 9회기부터는 공격행동 발생률이 30%이하로 나타남. 공격행동을 시도하려는 전조증상이 보이면 곧바로 손뼉치기 직전의 모습을 보여주면 아동이 따라할 수 있는 수준이 되어 양손을 가슴 앞에 보여주면 곧바로 스스로 손뼉을 취며 휴식을 요구함즉각적인 강화: 아동이 손뼉을 치며 휴식을 요구하면 곧바로 러그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 12회기 부터는 아동이 박수를 치기 전에 러그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손뼉을 치기 시작함. 보호자의 보고에 따르면 가정에서도 치료실에서 사용하는 똑같은 장난감을 보면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손뼉을 치며 달라는 요구를 하는 행동을 보임반응차단: 9회기부터는 공격행동에 대한 반응차단을 하면 곧바로 수용하고 다시 촉구를 주기 전에 아동이 자발적으로 손뼉치는 행동을 보임
15-20 촉구제거: 15회기부터 공격행동의 발생률은 10%미만으로 낮아짐, 17-19회기에는 공격행동의 발생률이 0%까지 낮아짐. 아동에게 촉구를 주지 않아도 자발적으로 손뼉을 치며 휴식을 요구했으며, 과제를 제시하여도 언제든지 본인이 원하면 과제를 멈출 수 있음을 인지하고 과제에 참여하는 시간도 증가함즉각적인 강화: 15회기부터 아동은 러그를 가리키며 손뼉을 치는 것 외에도 치료실에 비치된 물을 가리키며 손뼉을 치는 등 가리키는 것과 손뼉치는 것을 통해 본인이 원하는 것을 요구하기 시작함.반응차단: 반응차단을 위한 연구자의 행동은 손바닥으로 아동의 앞으로 가져다 대며 “안돼”라는 말을 흐면 곧바로 행동을 멈추고 손뼉을 치는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을 보임 손뼉치는 행동에 대한 촉구가 제거되는 것과 같이 반응차단에 대한 연구자의 행동의 촉구도 소거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