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연구자: 분석을 시행할 사람 이름 및 분석가로 선정된 이유- 국제 행동분석 전문가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며, 본 연구의 책임자임. |
2. 장소: 분석이 진행될 장소(아동이 가장 편안하고 선호하는 위치가 되도록 고려할 것)- 보호자와 아동이 함께 앉을 수 있는 소파가 있는 3*4m치료실 |
3. 즉각적인 강화물(HRE상태가 유지되는 것)의 제공을 위한 위치- 엄마와 함께 나란히 앉아 팔짱끼기, 치료실 끝 부분의 소파 |
4. 강화 중 상호작용: 분석가가 어디에 위치하며, 아동과 어떻게 상호작용할지 기술하고 분석 중 최소화 해야 할 상호작용을 기술- 아동과 가장 먼 곳에 위치하며 보호자와 보내는 짧은 시간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기- 시선은 아동에게 눈맞춤하지 않고 아동과 보호자의 상호작용 상태만 확인하기- 모든 질문(사회적 관심, 공동 주의 등)에 최소한의 단답으로 대답- 아동이 HRE상태를 시작했을 때 “엄마 좋아”하고 언급- 금지내용: 질문, 사회적 요구, 선호물에 대한 접촉, 선택제시, 따라다니기 |
5. EO조건 진행: 분석가가 EO를 어떻게 진행할지 기술- 자리에서 일어나기- 손뼉 두드리기- 가까이 다가가기- 아동에게 멈추거나 양보하도록 지시 “이제 일어나자”- 아동이 EO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지시 “책상에 가서 글자쓰기 하자”- 아동에게 EO를 시행할 수 있도록 준비 지시 “연필잡아”- EO에 활동 수행 지시하기 “OO적어” |
6. 문제행동에 대한 반응 기술- R1 or R2 행동이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과제를 중단하고 아동에게 “엄마한테 가자”하며 EO장소(엄마가 있는 소파)를 가리키기 |
7. 아동이 분석 영역을 떠나는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할지 기술- EO장소를 가리키며 “우와 저기 봐 엄마 앉아있네 같이 가볼까?”라고 말하며 신체적 촉구를 동시에 주며 EO장소로 이동 유도 |
8. 안전을 위한 변경: 안전에 위험이 있다면 어떤 변경사항이 필요한지 기술- SR조건에서 사용할 연필 뭉퉁하게 깎기- 긴팔을 입어 할퀴는 행동에 대한 대비 |
9. 데이터 수집- R1: “아울렛 갈까?”라고 반복적으로 말하며 치료사를 바라봄- R2: 치료사의 팔을 꼬집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