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II-4 A아동 IISCA 테스트를 위한 설계

아동명: 박OO 인터뷰 참여 보호자: 모
아동의 언어 수준: 20개월 아동의 주요 의사소통 방법: 손짓
1. 연구자: 분석을 시행할 사람 이름 및 분석가로 선정된 이유- 국제 행동분석 전문가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으며, 본 연구의 책임자임.
2. 장소: 분석이 진행될 장소(아동이 가장 편안하고 선호하는 위치가 되도록 고려할 것)- 보호자가 아동의 시야에 들어오는 곳에 앉아 있으며, 주변에 위험한 물건이 없으며, 아동이 선호하는 사물과 음식이 배치되어 있는 3*4m 치료실
3. 즉각적인 강화물(HRE상태가 유지되는 것)의 제공을 위한 위치- 스핀어게인 장난감, 치료실 정중앙의 러그 위
4. 강화 중 상호작용: 분석가가 어디에 위치하며, 아동과 어떻게 상호작용할지 기술하고 분석 중 최소화 해야 할 상호작용을 기술- 앉은 자세를 유지하고 러그에서 두 걸음 뒤에 위치- 언제나 시선은 아동을 향하도록 유지하기- 모든 질문(사회적 관심, 공동 주의 등)에 상황언어로 대답- 아동이 HRE상태를 시작했을 때 “동그라미 빙글빙글”하고 언급- 금지내용: 질문, 사회적 요구, 선호물에 대한 접촉, 선택제시, 따라다니기
5. EO조건 진행: 분석가가 EO를 어떻게 진행할지 기술- 자리에서 일어나기- 손뼉 두드리기- 가까이 다가가기- 아동에게 멈추거나 양보하도록 지시 “이제 빙글빙글 그만하자”- 아동이 EO지역으로 이동하도록 지시 “책상에 가서 공부하자”- 아동에게 EO를 시행할 수 있도록 준비 지시 “준비 손”- EO에 활동 수행 지시하기 “여기 봐, 이건 뭐야?”
6. 문제행동에 대한 반응 기술- R1 or R2 행동이 발생하면 즉각적으로 과제를 중단하고 아동에게 “저기 가서 놀자”하며 EO장소를 가리키기
7. 아동이 분석 영역을 떠나는 상황에서 어떻게 반응할지 기술- EO장소를 가리키며 “우와 저기 봐 선생님이랑 같이 놀자”라고 말하며 신체적 촉구를 동시에 주며 EO장소로 이동 유도
8. 안전을 위한 변경: 안전에 위험이 있다면 어떤 변경사항이 필요한지 기술- SR조건에서 사용할 책상 모서리 고무패킹 처리- 아동의 왼쪽에 위치하기
9. 데이터 수집- R1: “아아”하고 소리내며 과제물을 밀어냄- R2: 손바닥으로 자신의 뺨을 때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