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분석을 위한 기초 질문들 |
1. 문제행동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가?- 자신의 뺨을 계속해서 때리며, 요구를 들어주지 않으면 더더욱 강도를 올려 때림- 집에서 의도적으로 리모컨을 떨어뜨리는 행동을 반복함- 가끔 이유를 모르겠지만 “아!아!”하고 반복적으로 소리를 지름 |
2. 1번 답변 중 가장 염려스럽고 걱정되는 행동 하나는 어떤 것인지?- 자신의 뺨을 때리는 행동 |
3. 문제행동 강도, 횟수(주·일), 지속성, 위험성(타인 혹은 자신의 상해 가능성)- 강도: 뺨이 붉어질 정도로 강하게 때림- 횟수: 일 20회 이상- 지속: 본인이 원하는 것이 수용될 때 까지- 위험성: 가끔 입안에서 피가 나기도 함 |
4. 다른 종류의 문제행동들이 한꺼번에 또는 연속적으로 발생하거나, 가장 염려되는 문제행동이 일어나기 전에 먼저 시작되는가?- 소리를 지르다 뺨을 때리는 경우가 많았던거 같다. |
5. 문제행동이 가장 잘 발생하는 상황이나 활동은?- 인지과제를 하도록 제시했을 때 가장 많이 나타나는 것 같다. 인지치료실을 매일 다니다 보니 거의 매일 발생한다. |
6. 5번에서 언급한 상황이나 활동에서 어떤 요소/요인이 문제행동을 시작하게끔 하는가?- 지금은 그냥 카드만 봐도 문제행동을 시작하고, 과거에 강압적으로 치료를 진행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부터 더 심해지기 시작했던 것 같다. |
7. 만약 아동이 자신만의 방식/방법으로 무언가를 하지 못할 때 문제행동이 발생한다면, 아동이 어떤 것을 자신만의 방식/방법으로 통제하고 싶어하는가?- 자신을 더 강하게 때리며 통제하는 것 같다. |
8. 주양육자는 문제행동에 대해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처음에는 못하게 막기도 하고, 화를 내보기도 했으나 다 잘 되지 않아 그냥 원하는 것을 들어주려고 한다. 하지만 가끔씩 정말 들어줄 수 없는 경우에는 계속 막기만하고 있거나 평상시에 좋아하는 장난감을 가져다 주기도 하지만, 쉽게 진정하지는 않는다. |
9. 문제행동을 이미 시작한 아동을 진정시키거나 멈추게 하기 위해 어떻게 하는가?- 앞서 언급한 것과 비슷하다. 그래도 때리는 행동을 못하게 힘으로 제압하고 있다가 시간이 지나서 스핀어게인 장난감을 주면 전환이 되긴하는데 그때까지 시간이 꽤 걸린다. |
10. 문제행동이 시작되지 않도록, 아동의 주의나 관심을 전환시키거나 분산시키는 방법이 있는가?- 과제를 제시할 때 보통 스핀어게인 장난감을 옆에 두거나 간식을 주긴 하는데 상황에 따라 전환이 되는 경우도 있고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기능정리 및 확인을 위한 질문들 |
1. 아동이 현재 문제행동들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한다고 생각하면 어떤 것이 될 수 있을까?- 아마 일단 인지과제를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이 가장 큰 것 같다. 과거에는 집에서 장난감을 주지 않거나 간식을 주지 않아도 문제행동이 많이 발생했는데, 요근래에는 거의 치료실에서나 집에서 숫자찾기 하려고 하면 그러는 것 같다. 하기 싫어서 더 강하게 하는 것 같다. |
2. 문제행동이 자기자극(감각추구)행동이라고 생각하는지, 만일 그렇다면 어떤 면 때문에 그렇게 생각하는가?- 잘 모르겠다. 가끔 보면 정말 혼자 잘 놀다가 때리기도 하는데, 자세히 보면 놀다가 뭔가 맘에 들지 않아서 때리는 것 같기도 하다. 감각적인 행동인지 정말 뭔가를 원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 |
3. 마지막으로 무엇 때문에 아동이 문제행동을 한다고 생각하는가?- 인지 과제를 하기 싫어서 하는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