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역 | 범주 | 의미 단위 |
---|---|---|
일반학교의 생활교육 현황과 PBS에 관한 인식 | 기존 생활교육 정책 및 생활지도 운영 방식 | 회복적생활교육 및 학급긍정훈육법 |
기존 생활지도 방식의 성격과 한계 | ||
일반학교에서 PBS가 갖는 의미와 중요성 | PBS의 차별성과 가치 | |
기존 생활교육과의 연계성 | ||
PBS 적용 시 주안점 | ||
일반학교에서 PBS를 운영하면서 느낀 경험 | 학교급에 따른 차이 | 교사의 관찰 및 측정 여건 |
학생과 학부모의 특성 측면 | ||
현실적인 제약 조건 | 기록 및 학년 간 연계의 어려움 | |
일회성 외부 컨설팅의 한계 | ||
학부모 비동의나 비협조 | ||
일반학교 확대 가능성 | 일반교사의 실행 역량 | |
일반학교 PBS의 성공 요인 | ||
일반학교에 PBS를 정착시키기 위한 지원 요구 | 학생과 교사를 위한 지원 | 도구 및 절차의 간소화 |
다양한 유형의 사례 제공 | ||
전문가의 정기적인 컨설팅 | ||
단위학교 차원의 지원 | 학교 구성원의 일관성 | |
관리자의 이해와 지원 | ||
학교 밖 지원시스템 연계 | ||
시·도교육청 차원의 지원 | 교육청 수준 컨트롤타워 설치 및 운영 | |
체계적인 교사 양성 및 질적 수준 확보 | ||
행동중재 업무에 대한 보상체계 마련 | ||
학부모 책임 강화 및 부모교육 확대 | ||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 | 교사의 학생 생활지도권 확대 명문화 | |
교사 및 학생에 대한 보호체계 마련 | ||
행동중재를 위한 수업시수 감소 | ||
교원양성과정에서 행동중재 역량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