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인터뷰 질문의 구조와 내용

구분 인터뷰 질문 내용
실행 그룹용 지원 그룹용
PBS에 대한 인식과 의미 • 최근 교육청에서 단위학교에 제시하는 생활교육 정책(예: 회복적생활교육)이나 방안은 무엇이 있으며, 어떻게 운영되고 있습니까?• PBS는 기존 생활교육 정책(생활지도 방안)과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 최근에 학생의 다양한 문제행동(특히 심각한 경우 ‘정서행동 위기학생’으로 칭함)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일반학교에서도 PBS를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어떤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PBS 운영의 과정과 결과 • PBS의 적용에 있어서 학교급별 어떤 차이(예: PBS 적용, 학생 특징, 동료 교사들와의 관계, 학교 문화 등)가 존재한다고 생각하십니까?• PBS를 경험해본 결과, 일반학교에서 PBS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교사들이 과연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십니까?• PBS를 실행하시면서 나타난 한계나 문제점, 장애 요인 등이 있었다면 무엇이 있습니까?• 이번 사례에 적용한 운영 프로세스 중 향후 수정이나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 부분은 무엇입니까? • 올해 상반기에 PBS를 적용하고 있는 교사를 만나고 직·간접적으로 참여하셨는데, 어떠한 경험을 하셨습니까? 해당 교사 혹은 학생의 반응도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PBS를 경험해 본 결과, 일반학교에서 PBS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교사들이 과연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하십니까?• PBS를 실행하시거나 지원하시면서 어렵거나 아쉬운 점, 개선할 점 등이 있었다면 무엇이 있습니까?
PBS 시스템 구축을 위한 요구 • 생활지도의 차원에서 PBS를 일반화한다면 현 프로세스를 어떻게 수정·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PBS가 일반학교에서 확산되고 정서행동 위기학생 대응시스템으로 정착하기 위해서 단위학교에서는 어떤 부분의 지원 또는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교육청이 PBS를 생활교육 차원의 정책으로 추진한다면, 어떤 정책적·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정서행동 위기학생들을 위한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이나 기타 발전 방안에 대한 있으시다면 제안해 주십시오. • 생활지도의 차원에서 PBS를 일반화한다면 현 프로세스를 어떻게 수정·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정서행동 위기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서 학교 안팎에서 정서행동 위기학생 대응시스템을 어떻게 구축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예: 추진 체계, 조직, 예산, 운영)• 교육청이 PBS를 생활교육 차원의 정책으로 추진한다면, 어떤 정책적·제도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정서행동 위기학생들을 위한 대응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이나 기타 발전 방안에 대한 있으시다면 제안해 주십시오.